농림부는 이들 복수 의견 중 공청회 등을 거쳐 한 가지 안을 법 개정 시 반영할 계획이다. 농협 중앙회와 시민단체의 의견은 형식적으로는 비상근과 비상임으로 구별되지만 내용적으로는 더 큰 시각차이를 보인다는 게 문제다. 농민단체는 일단 대부분의 사업 부분에 대한 권한을 이양하는 비상임 전환을 주장하고 있다.농협회장이 지역 조합 총회에서 선출된 농민 대표인 만큼 중앙회 사업을 실질적으로 관장하는 현행 구조를 개선해야 한다는 것. 따라서, 지역 조합의 목소리를 대변하기 위해 중앙회와 관련된 모든 경영 활동에서 손을 떼야 한다는 게 요지다. 이에 대해 농협중앙회는 “중앙회장의 교육지원 사업부문을 전문경영인에게 이양함으로써 사실상 권한이 일부 축소되는 것”이라며 “비상근과 비상임은 단지 형식적인 것이지 내용적으로는 취지가 거의 같다”고 설명했다.
농민단체와 중앙회는 농림부의 의견 검토 기간을 거친 뒤 비상근 및 비상임에 대한 규정 여부 및 권한 문제에 대해 법제처의 의견을 들어 확정활 방침이다.업계에서는 농협중앙회의 비상근 전환제가 그대로 채택될 경우 신경 사업분리, 군 지부 합병 등에 이어 개혁 의지가 한풀 꺾이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농민단체 한 관계자는 “최근 농업 개방 문제, 태풍 재해 등으로 인해 농림부는 물론 농협 내부적으로도 세부 개혁 사안에 대한 도입 의지가 퇴색하는 분위기”라며 “신경사업분리, 군지부 폐지 계획 등이 사실상 연기되고 있는 가운데 농협중앙회 회장의 비상근 전환으로 권한이 유지될 경우 또 다시 농협개혁의 단기적인 성과를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수>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