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뢰 회복한 수리온…의무후송전용헬기, 관용헬기로 시장확대 전망
[일요서울ㅣ사천 이도균 기자] 수리온이 국내 군용헬기 중 최고 수준인 중정도 체계결빙 운용능력을 확보해 전천후에도 작전 수행이 가능하게 됐다.
수리온이 입증받은 '중정도 결빙'은 우리 군이 운용하는 헬기 중 결빙 운용능력이 가장 뛰어난 UH-60과 동급으로 이제 우리 군은 -30℃의 결빙지역에서도 수리온을 운용할 수 있게 됐다.
'중정도 결빙'은 대기 중 수증기량이 0.5∼1.0g/m³인 환경에서 정상적 운용이 가능한 조건을 일컬는다.

수리온도 시행착오를 거쳤으나 두 차례 만에 '중정도 결빙'운용 능력을 획득했다.
앞서 2015년 10월부터 2016년 3월까지 수행했던 1차 체계결빙 시험결과 수리온은 일부 감항기준을 충족 하지 못한 바 있다.
KAI 관계자는 “수리온이 그동안 논란이 되었던 체계결빙 운용능력을 확보했다”며 “앞으로 우리 군과 국민을 지키는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최대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KAI는 지난해 12월부터 4개월 동안 미국 미시건주 마켓(Marquette)에서 방위사업청, 육군·공군, 국방과학연구소 및 국방기술품질원이 참여한 가운데 2차 체계결빙 비행시험을 수행했다.

1차 비행시험에서 문제가 되었던 엔진 공기흡입구, 전선절단기 등 방빙ㆍ제빙 계통을 보완한 뒤 2차 비행시험을 수행한 결과, 수리온은 요구도를 충족하는 시험성적을 내며 결빙 조건을 조우하더라도 안전한 운용이 가능함을 입증하는데 성공했다.
수리온이 겨울철 비행안전성에 대한 우려를 해소한 가운데 우리 군은 전력화를 가속해 항공전력을 한층 더 강화해 나갈 전망이다.
노후한 육군의 기동헬기 및 해병대 상륙기동헬기도 수리온으로 대체 중이다.
또한 메디온 부대에서 운용할 의무후송전용헬기도 공급할 예정이다.
의무후송전용헬기는 첨단 응급의료장비를 탑재해 부상을 입은 국군장병의 신속한 후송 및 응급처치가 가능하도록 개발됐다.
정부기관도 국산헬기의 도입을 더욱 확대할 것으로 기대된다.
지금까지 경찰청 8대, 해양경찰청 2대, 산림청 1대, 제주소방본부 1대 등 총 12대의 수리온 파생형헬기가 도입됐다.
경남 이도균 기자 news2580@ilyoseoul.co.kr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