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양식 초기 수온이 낮아 수확량이 잠시 주춤했으나 점차 수온을 회복하는 등 해황이 안정되고, 김 생산 어업인들의 꾸준한 어장관리 노력으로 지난해(8만 9796톤)에 비해 생산량이 증가했다.
생산량 증가에도 물김 위판액은 983억 원으로 지난해 988억여 원에 비해 다소 하락했다. 인근 지자체의 양식 면허지 확대 등으로 전체 물김 생산량이 늘어나 가격하락으로 이어진 결과이다.
다만 최근 5년간 물김 위판액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천억대 생산을 곧 돌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해남군은 고품질 김 생산을 위해 친환경 김 어망 지원을 비롯해 친환경 양식 기자재 공급, 김 육상채묘, 김 활성화 처리제 지원 등 10종의 김 양식 육성 사업을 추진 기반을 조성해 나가고 있다.
또한 해남 김 산업의 여건 분석 및 발전 전략을 수립해 지역 내 주도형 식품산업으로 발전시켜 나가기 위한 김 산업 발전방안 연구용역을 실시하고 있다.
해남은 전국 물김 생산량의 25%를 차지하고 있는 주요 물김 생산지이자 마른김 가공공장 또한 전국 최대로 100개소가 넘는 등 어민소득 증대에 톡톡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
한편 해남군의 2018년산 김 양식은 627어가에서 9611ha 면적에 12만5000여책을 시설하고 있다.
전남 조광태 기자 istoday@ilyoseoul.co.kr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