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단 이 전총재는 ‘내가 책임질 것은 책임지고, 노 대통령도 책임질 일이 발생하면 책임을 져야한다’는 강도 높은 선언을 한 것이다. 사실 이 전총재가 이같은 결심을 굳히게 된데는 자신의 최측근으로 분류됐던 서정우 전고문이 구속되면서부터였다. 물론 그동안에도 책임질 일이 생기면 책임질 것이란 점을 분명히 했지만, 서 전고문의 구속을 계기로 사실상 중대결심을 굳혔다는 후문이다. 이미 지난 10일을 전후해 한나라당 핵심 당직자를 통해 이 전총재의 이같은 결심이 당에 전달됐고, 당도 이 전총재의 결심에 맞춰 초강수로 정국을 대응해 나간다는 전략을 수립한 상태였다. 한나라당 고위 당직자는 “이회창 전총재가 생각을 정리한 것으로 안다”며 “검찰 출두는 물론, 구속까지 각오하고 있다”고 이 전총재 측의 분위기를 전하기도 했다.
또한 이 전총재는 사실상 정계복귀를 선언한 것이나 다름없다는 게 정치권 관계자들의 분석이다. 15일 기자회견을 통해 사실상 노 대통령과 전면전을 선언한 이상, 향후 이 전총재의 행보는 다분히 정치적일 수밖에 없다는 이유에서다. 실제 이 전총재는 대선자금 정국을 정면으로 돌파한 뒤 내년 총선을 통해 국민들의 심판을 받을 각오인 것으로 전해진다. 한나라당 핵심 당직자는 “이 전총재의 의지와 상관없이 정계복귀를 한 것으로 봐야 한다”며 “지난해 대선후보였던 노무현-이회창 간의 피튀기는 전쟁이 다시 시작됐다”고 말했다.특히 관심을 끄는 대목은 공동책임론. 노무현 대통령 진영의 불법 대선자금 수수 문제가 부상할 경우, 그에 상응한 책임을 노 대통령이 져야 한다는 것이다.
불법으로 수수한 자금이 많고 적음을 떠나, 불법으로 자금을 조성했다면 법의 심판을 피할 수 없다는 이유에서 나온 말이다. 따라서 한나라당도 노 대통령의 책임론을 집중 부각시킬 공산이 커졌다. 노 대통령 핵심측근들의 자금수수 의혹뿐 아니라, 이회창 전총재측이 조성한 대선자금 전반에 대한 공개를 전격 선언할 수도 있다는 게 한나라당 고위 당직자의 전언이다. 이 때문에 정치권 관계자들은 ‘이 전총재가 혼자 죽지 않겠다’는 의지로 해석한다. 대선자금 공동책임론도 이 때문에 나온 것으로 볼 수 있다.
이형운 leho@ilyoseoul.co.kr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