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권에 따르면 민주당은 광역단체장 후보 선출방식과 관련 결선 투표 및 1ㆍ2차 경선은 현재 검토하고 있지 않으며 컷오프를 통해 후보자 2∼3인을 대상으로 경선을 진행하는 것으로 방침을 세웠다.
1ㆍ2차 경선은 1∼2위 예비후보 간 여론조사 지지율 격차가 10% 이내일 경우에는 의미가 있을 수 있으나 현재는 대체로 후보자 간 격차가 크게나 소모적으로 경선을 길게 끌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문재인 대통령과 당 지지율이 고공행진을 거듭하며 선거분위기가 당에 유리하게 돌아가고 있는 것도 한 요인이다. 또 두 번에 걸쳐 경선을 진행할 만큼 접전이 이뤄지는 곳도 아직은 없다는 것이 이 같은 방침을 세운 배경으로 거론된다.
아울러 경선이 진행될 걸로 보이는 지역에서 1·2차 투표까지 필요할 정도로 치열한 접전이 이뤄지는 곳이 아직은 보이지 않는다는 점도 '원샷 경선' 방침의 배경으로 비친다.
무엇보다 한때 예비후보가 6명에 달하면서 1·2차 경선이 진행될 것이라는 전망이 많았던 서울시장의 경선 후보가 3명으로 줄어든 것도 영향을 주고 있다는 분석이다.
다만 민주당은 예비후보들이 결선투표와 유사한 2인 경선을 희망할 경우 공천관리위원회에서 1명을 컷오프 처리할 수도 있단 입장이다. 수도권 이외에 후보가 3명을 넘지 않는 대전, 충남, 전남 등도 '원샷 경선'이 예상되는 지역이다.
그러나 서울과 경기, 광주 등에서는 일부 예비후보가 경선 흥행을 위해 1~2위를 대상으로 한 결선투표를 계속 요구해 경선 방식이 최종 결정될 때까지 당내 논란이 이어질 가능성도 남아있다.
서울시장에 도전하는 박영선 우상호 의원은 오늘도 각각 결선투표 필요성을 강조했지만 박원순 서울시장 측은 당의 결정에 따르겠단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경기도의 경우 이재명 전 성남시장이 전해철 의원과 양기대 전 광명시장의 결선투표 요구를 수용하겠다는 입장을 전격적으로 밝힌 탓에 당이 어떤 결정을 내릴지 귀추가 주목된다.
민주당은 단수공천과 전략공천 기준도 가다듬었다. 민주당은 예비후보 간 지지율 격차가 '현격'하게 날 경우 경선 없이 단수로 후보를 공천하겠단 방침이다.
일환으로 공천관리위는 단수공천 기준도 내부적으로 마련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당헌·당규에 따라 광역단체장 17곳 중 3곳까지 전략공천을 할 수 있는 만큼 이 문제도 검토하는 걸로 알려졌다.
한편 민주당은 남북정상회담 이전인 다음 달 22일까지 경선을 완료한다는 방침으로, 이때까지는 17개 광역단체장 선거후보 공천이 마무리될 걸로 예상된다. 앞서 24일까지 진행된 광역단체장 공모에는 모두 47명이 신청서를 냈다.
고정현 기자 jh0704@ilyoseoul.co.kr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