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일 이명박 대통령은 청와대에서 가진 기지회견에서 상반기 중에 과학벨트 입지를 발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2007년 대선 과정에서 과학벨트를 충청권에 유치하기로 한 약속 이행을 묻는 질문에 “과학벨트 문제는 국가 미래를 위해서 해야 하는 사업이다. 우리처럼 자원이 없는 국가가 유일하게 살아갈 수 있는 길은 과학기술 선진화라고 생각한다”고 답변했다.
하지만 이 대통령은 충청권과의 약속을 지키지 않을 경우 신공항에 이어 또 하나의 공약 불이행됨에도 불구, 결국 공약 이행 약속을 하지 않았다.
따라서 충청권은 영·호남권이 주장하는 분산 배치 또는 백지화 수순을 밟는 것 아니냐며 반발하고 있다. 호남권이 과학벨트 분산 배치를 주장해왔고, 영남권은 신공항 백지화에 따른 민심 달래기 차원에 입지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점에서 과학벨트 쪼개기 관측도 나오고 있다.
또 과학벨트의 백지화 가능성도 대두되고 있다. 최근 이 대통령은 신공항 백지화 결정에 대해 “공약한 사람이 공약을 다 집행할 수 없다.
신공항 공약을 집행하기 위해 검토해 본 결과 사업성이 없다는 것이다”고 밝혔고, 과학벨트 입지에 대해 경쟁력을 강조했다.
이 같은 이 대통령의 입장은 국론분열과 지역 갈등으로 번지는 유치 경쟁에 대한 부작용을 감안해 경쟁력을 명분으로 과학벨트 사업 유보 내지는 백지화 가능성도 있다는 것이다.
지역정가의 한 관계자는 “이명박 대통령이 과학벨트 충청권 대선공약 약속 이행에 대한 질문을 피한 것은 원점에서 다시 검토하겠다는 기존 입장을 고수한 것”이라며 “본격적인 입지 선정 작업이 시작되면 분산 배치와 충청권 구축에 대한 논란이 더욱 뜨거워질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충청투데이]
기자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