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연계 도시기본계획 재정비”
“세종시 연계 도시기본계획 재정비”
  •  기자
  • 입력 2010-10-05 10:04
  • 승인 2010.10.05 10:04
  • 호수 858
  • 60면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전발전硏 ‘세종시와 대전의 미래’ 세미나 개최

대전시가 행정도시(세종시)와의 연계발전 방안이 전무해 모(母)도시로서의 기능과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을지에 대해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이같은 주장은 대전발전연구원이 지난 9월 27일 대전 오페라웨딩홀에서 ‘세종시와 대전의 미래’란 주제로 개최한 대전발전 기획세미나에서 나왔다.

세종대 변창흡 교수(행정학)는 이날 2006년 수립된 대전시도시기본계획과 앞서 수립된 대전광역도시계획에 행정도시와의 연계성이나 기능분담 등에 대한 방안이 전혀 반영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반면 대전시 장기발전 구상은 잘 보여주고 있다는 것.

행정도시 광역도시계획에는 세종시를 중심으로 광역도시계획을 수립해 수도권에 대항거점으로 육성하는 구상이 담겨 있다.

특히 작년에 출범한 충청권광역경제발전위원회(공동위원장 대전시장·충남지사·충북지사)는 단 두 차례 회의를 개최하는데 그쳐 중앙정부 지원사업 수행을 위한 형식적인 운영에 그치고 있다는 지적이다.

변 교수는 충청권광역경제발전위 회의에서도 행정도시에 대한 논의가 전혀 없었고 광역연계협력사업도 행정도시 관련 사업은 채택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변 교수는 “행정도시는 수도권의 중추관리 기능 중 중앙행정기능을 이전함으로써 지역균형발전의 새로운 거점을 만드는데 있기 때문에 세종시가 이를 독자적으로 수행할 것이 아니라 대전시가 중핵도시가 돼야 한다”고 지적한 후 “시는 도시기본계획과 광역도시계획, 광역경제권 발전계획을 변경해 행정도시와 연계발전 방안과 협력 및 역할 분담 방안을 적극적으로 반영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단국대 조명래 교수는 ‘세종시의 미래와 대전시의 역할’이란 주제발표를 통해 “세종시 초기 이주자(2013년)들의 대체 주거지와 교육, 의료 등 대체 서비스 공급지를 세종시 생활권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필요한 도시계획 시설을 확충해야 한다”면서 대전시의 도시기본계획 재정비를 요구했다.

조 교수는 “세종시가 인구 30만 자족도시를 갖추게 되면 대전시는 경쟁과 협력의 관계를 동시에 갖게 된다”며 “세종시 9부2처2청의 중앙부처와 대전정부청사 간 협무협조와 분담체계를 구축해 세종시와 대전시가 하나로 통합된 국가중추행정도시로 기능하도록 해야한다”고 지적했다.

금홍섭 대전참여자치시민연대 사무처장은 “세종시와 주변지역은 수도권에 버금가는 중추거점되로서의 위상을 갖는다는 새로운 목표가 설정돼야 한다”면서 “대전시와 세종시는 상호 협력하고 상생하는 관계를 위해 시가 능동적인 자세로 세종시 건설 타임스케줄에 맞는 대응 로드맵을 가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대전일보]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