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건축설계 용역업계는 시공업체에 대해서는 30% 이상 참여를 배려하는 반면 설계용역업체는 이러한 논의에서 배제돼 수도권 소재 대형 설계사무소의 하청 기지로 전락하는 악순환이 되풀이 되고 있다는 주장이다.
조달청은 지난 8월 24일 농촌진흥청 지방이전사업(3, 4, 5공구) 설계용역을 PQ(사전적격심사) 방식으로 긴급 공고했다.
이 사업은 공사예정금액만 4700억 원, 건축설계용역비도 172억 원으로 향후 전북혁신도시 공공기관 이전 사업의 발주방향을 결정하는 가늠자로써 주목된다.
농진청은 3, 4, 5공구 PQ 발주에 이어 다음 주중에는 1, 2공구를 턴키 방식으로 발주할 예정이다.
농진청 산하 이전기관의 건물은 총 141개동(1·2공구 53개동, 3·4·5 공구 88개동)으로 전체 설계용역비만 300억 원대에 이른다.
그러나 농진청은 3, 4, 5공구에 대한 설계용역입찰을 공고하면서 전체 88개동을 묶어 발주, 지역 설계용역업체의 참여를 봉쇄하는 결과를 낳았다.
이에 대해 전북건축사협회는 “농진청 건물이 141동에 달하는데도 불구하고 분할발주 등 지역업체에 대한 배려없이 편의주의로 발주했다. 분할 발주를 통해 현상공모할 경우 지역 설계용역업체 참여가 가능할 뿐더러 건축물의 품질도 높아진다”면서 인식 전환을 촉구했다.
농진청에 앞서 전북혁신도시 이전기관 중 하나인 지적공사도 300억 원대 사옥 설계용역(14억 원)을 현상공모 발주하면서 도내 전문가들의 심사위원등록을 원천봉쇄해 논란을 빚었다.
이 결과 서울 소재 희림건축사무소가 수주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성엽 전북건축사협회장은 “시공업체와 마찬가지로 설계용역도 참여를 권고하는 등 전북도의 적극적인 관심이 촉구된다”고 강조했다.
농진청 관계자는 “전체 공구의 구도와 연계성을 고려하다보니 묶어 발주하게 됐다”면서 “낙찰자가 결정되면 지역 설계용역업체의 참여 방안을 위해 논의하겠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시공업체의 경우 30% 이상 참여를 권장하고, 또 전북에서 생산되는 중소기업제품을 사용하도록 입찰공고문에 강제할 계획이다”고 덧붙였다.
[새전북신문]
기자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