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중앙광장’입지·역사성 논란
‘부산중앙광장’입지·역사성 논란
  •  기자
  • 입력 2010-08-31 12:58
  • 승인 2010.08.31 12:58
  • 호수 853
  • 60면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학계·시민단체, 장소 선정·여론 수렴 부족 등 문제 제기
부산시가 부산진구 부전동 삼전교차로~양정동 송공삼거리 지역에 조성할 부산중앙광장(가칭)에 대해 부산지역 건축 전문가와 학계, 시민 단체를 중심으로 입지의 적합성과 그 내용에 대해 이의가 제기되고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

일각에서는 부산중앙광장을 원점에서부터 재검토하자는 목소리까지 나오고 있다.

지난 8월 24일 부산시에 따르면 시는 지난해 8월 국내 최대 규모의 부산중앙광장(3만4430㎡·광화문광장은 1만6500㎡) 조성 계획을 발표한 데 이어 이달 초 부산중앙광장 설계 현상 공모 당선작으로 ㈜부경종합기술단 등이 공동 제출한 ‘흐름과 소통, 그리고 미래광장’을 선정했다.

부산중앙광장 조성 사업은 지난해 부산시의 발표 이후 불과 1년여 만에 일사천리로 진행되고 있는 것.

하지만 이에 대해 지역 건축 학계, 전문가, 시민단체 등에서는 “왜 이 구간이 부산의 중앙광장이 되어야 하는지 그 타당성이 부족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전일수 부산시의회 의원은 “광화문광장은 조선 600년의 상징적 장소이다. 육조거리로 정치 행정 문화 역사의 대표적 거리였다. 그러나 부산중앙광장은 부산 역사에서 어떤 대표성과 상징성을 갖고 있는지 알 수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에 시는 “당초 이 구간에 부산진구 부전동에서 양정 하마정 쪽으로 빠지는 고가도로를 건설할 계획으로 지난 94년부터 토지 매입을 추진해 왔다. 그러다 지난해 서울 광화문광장이 사회적 관심을 받자 당초 계획을 수정해 부산중앙광장으로 변경한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부산중앙광장 안은 지난 6월 지방선거 때 “부산시장 선거용” “부산중앙광장은 서울 광화문광장의 짝퉁”이라는 지적도 이어지고 있다.

게다가 전국 최대 규모의 부산중앙광장을 만들면서 1차례의 심포지엄을 제외하고는 시민들과 전문가들의 논의가 없었다는 점도 논란이 되고 있다.

박재율 지역경영연구소장은 “시가 전국 최대의 광장을 조성하면서 시민의견도 수렴하지 않고 구체적 공간계획을 세운 것은 납득이 가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설계 현상 공모에서 드러난 부산중앙광장의 형태는 ‘아일랜드형(섬형)’으로 교통섬과 같아 시민의 광장이 되기에는 부족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이에 대해 부산시 관계자는 “이 일대에 대한 도시계획시설 결정은 이미 1972년 결정된 것”이라고 밝혔다.

[부산일보]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