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12일 도에 따르면 김두관 지사는 지난 1일 공식취임 이후 공·사석에서 잇따라 ‘4대강 사업 반대’ 입장을 거듭 확인하면서도, 정작 담당 부서인 건설항만방재국 국책사업지원과에는 아무런 지침을 내리지 않고 있다.
이 때문에 담당 공무원들은 국토해양부 부산지방국토관리청, 수자원공사 등과의 유기적인 업무 기조에서 한발 후퇴한 채 윗선의 눈치만 바라보는 형국이다.
이달부터 중앙정부가 4대강 살리기사업 홍보에 본격 나섰음에도 불구하고 중앙정부 방침과 김 지사의 입장이 상반되면서, 이미 확보해 놓은 홍보예산을 집행하지 못하고 있다. 4대강 사업을 지지하는 대구시가 시비 2억 원과 정부 특별교부세 3억2000만 원 등 5억2000만 원을 확보해 이미 절반가량을 집행한 것과 대비된다.
경남도는 4대강 사업 홍보예산으로 도비 2억9500만 원과 정부 특별교부세 2억1900만 원 등 총 5억1400만 원을 확보해 놓고 있다. 도는 당초 4대강 홍보예산으로 7~8월 두 달간 신문과 TV, 라디오, 인터넷 배너 광고 등을 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현재까지 집행한 액수는 4대강 사업의 당위성을 알리는 홍보책자 제작비 등으로 총액의 3.9%인 2000만 원만을 지출했을 뿐이다.
이처럼 도가 가진 ‘낙동강 사업 저지 카드’는 매우 제한적이어서 김 지사가 원론적인 차원에서 보 건설과 준설 반대 입장을 고수하면서 이수·치수 부문 수정대책을 마련, 중앙정부와 협의할 것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경남신문]
기자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