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테크노폴리스 자본금 바닥
청주테크노폴리스 자본금 바닥
  •  기자
  • 입력 2010-07-20 13:26
  • 승인 2010.07.20 13:26
  • 호수 847
  • 60면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상임 임원 3명 무보수 교체… 출자사 확보 등 안간힘

(주)청주테크노폴리스가 사업의 전제조건인 3000억 원대 PF(프로젝트 파이낸싱) 자금 확보가 지연, 자본금이 바닥 남에 따라 자구책으로 감사와 상무이사를 비롯한 등기임원 3명을 비상임 무보수 임원으로 교체하는 등 비상이 걸렸다.

이에 따라 청주시와 출자회사들은 출자사 추가 확보와 PF 조달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지난달 22일 열린 주주총회에서 청주시 추천 감사와 산업은행 등 2개 출자사 추천 상무이사 2명 등 등기임원 3명에 대한 해임안을 의결했다.

특히 (주)테크노폴리스는 2008년 6월 특수법인 출범 당시 투자된 100억원의 자본금 대부분을 용역비와 임직원 인건비로 사용해 이 같은 자구책을 내놓은 것으로 알려졌다.

(주)테크노폴리스 출범 당시 청주시가 현물 20억 원을, (주)신영 등 6개 출자사가 80억 원을 각각 출자했으나, 현물을 제외한 자본금은 바닥이 난 것으로 알려졌다. 시와 (주)테크노폴리스는 이에 따라 삼성, GS 등 대기업을 대상으로 주주사 추가 영입 방안을 추진중이다.

2008년 3월 청주시와 (주)신영이 컨소시엄을 맺어 본격화된 청주시 흥덕구 강서2동 일원 테크노폴리스 사업은 같은해 6월 자산관리회사 설립에 이어 시행자 지정고시·지구지정 및 개발계획 승인(8월 8일), 실시계획 승인 신청(2010년 1월) 등 절차가 진행됐으나, 답보 상태를 면치 못하고 있다.

곽승호 테크노폴리스 대표이사는 “출자사들이 사업이 가시화될 때까지 경상비를 줄이자는 안을 내놓아 임원을 비상근으로 전환했다"며 “지연되고 있긴 하지만 상당수 업체가 입주의향서를 제출했고, 공동 주택용지 분양도 승산이 있어 가능성은 충분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말했다.

[충청타임즈]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