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직속기구인 국가건축정책위원회는 3일 청와대에서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열린 제3차 국가건축정책위원회에서 ‘제1차건축정책기본계획’ 및 ‘보금자리주택 품격 향상방안’, ‘신 한옥플랜’ 등을 보고했다.
이번 회의는 ‘국격을 높이는 건축정책’을 주제로 국격향상과 녹색성장이라는 아젠다를 구현하기 위한 건축정책의 실천방안을 논의하고 전문가와 시민들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마련됐다.
먼저 국가건축정책위는 올해를 ‘한옥 르네상스 시대’의 원년으로 설정, 범부처 차원의 한옥관련 종합추진계획인 ‘국격향상을 위한 신 한옥플랜’을 통해 전통문화의 정체성을 회복하고 국토경관의 품격을 높이기기로 했다.
이와 관련해 ‘한옥의 보급·확산’을 농어촌지역부터 본격적으로 시작하고, 이를 위해 한옥신축시 농어촌주택개량자금을 우선 지원하는 한편, 농어촌 한옥 표준설계도서를 개발·보급하기로 했다.
또 공공택지 개발시, 단독주택지구의 일부를 한옥마을 전용택지로 공급이 가능하도록 관련 규정을 개정하며 입지유형별로 한옥마을 시범사업도 추진할 계획이다.
한옥의 보급·확산에 가장 큰 걸림돌이라고 할 수 있는 ‘춥고, 불편하고, 비싼 한옥’의 문제점을 해결하기로 했다. 현재 주거유형별로 3.3㎡당 공사비를 비교할 때 목조집은 400~600만원, 일반 단독주택은 300~500만원이 들지만 전통한옥은 건축비가 1000~1500만원이 들어 2~3배가 비싸다.
또 한옥산업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목재의 표준화 및 생산·유통 인프라 구축, 설계·시공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개선방안 마련, 전문업체의 데이터베이스(DB) 구축·제공도 함께 추진할 계획이다.
[충청타임즈]
기자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