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화하는 보이스피싱 ‘알고도 당한다’
진화하는 보이스피싱 ‘알고도 당한다’
  •  
  • 입력 2009-01-13 18:12
  • 승인 2009.01.13 18:12
  • 호수 91
  • 37면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주지역, 보이스피싱 범죄 154건 피해액 18억6000만원에 이르고 있어 경제불황이 계속되는 가운데 최근 노인과 그 가족을 대상으로 장기요양을 빙자한 전화사기(보이스피싱)가 늘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건강보험공단 제주지사는 29일 노인장기요양보험이 올 7월부터 본격 시행되면서 이를 악용한 전화사기 사례가 발생하면서 도민들은 속지 말 것을 당부했다.

사기 유형을 보면 전화를 걸어 장기요양 혜택을 주겠다며 주민등록번호와 통장계좌번호 등 개인정보를 수집하거나 장기요양급여 이용한도액 초과에 따른 납부금 요구 등이다.

또 장기요양 등급판정에 편의를 제공, 공단의 후원이나 협력단체로 위장해 가입비 및 모금을 하는 행위 등도 속출하고 있다.

여기에 장기요양보험 대리신청을 해주겠다며 신상정보를 수집하는 등 전화사기 수법이 다양하고 지능화됐다는 것. 실제 최근 제주시내에 거주하는 60대와 70대 2명이 건강보험을 사칭한 전화를 받고 현금인출기에 돈을 입금하려다 경찰관과 가족들이 이를 신고하면서 피해를 막을 수 있었다. 경찰 관계자는 “보이스피싱이 노인장기요양보험 등 생활밀착형으로 진화하면서 일부 주민들은 알면서도 당하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고 밝혔다.

건보공단 관계자는 “장기요양보험은 신청한 사람에 한해 공단 직원과 사전 방문약속 후 이뤄진다”며 “아울러 급여 환급 등은 모두 서면으로 이뤄지기 때문에 의심스런 전화는 이름과 전화번호를 메모한 이후에 공단으로 다시 연락해 확인절차를 거쳐야 한다”고 당부했다. 한편 올 상반기 제주지역에서 발생한 보이스피싱 범죄는 모두 154건에 피해액은 18억6000만원에 이르고 있다.

〈제주일보〉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