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미래차 경쟁력 돋보이다”
- 평창동계올림픽서 자율주행차 타기…수소버스도 모여- 판교 자율주행버스 ‘제로셔틀’ 국내 최초 시범운행도
[일요서울 | 이지현기자] 전 세계가 자율주행차 모델을 내놓고 경쟁을 하고 있다. 특히 관련정책과 윤리기준을 세워 기술을 선도해 나아가는데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영화 속 장면이 현실로 나타나 중국은 이미 무인버스가 등장해 화제가 되고 있다. 다양한 딥러닝 기반 자율주행 인공지능(AI) 기술이 접목된 긴급제동장치(AEB) 시스템 또한 자동차 관련업계의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도심 속 자율주행 버스 시범운행
자율주행차의 단계적ㆍ체계적인 운행ㆍ제어ㆍ관리 방안이 마련되면서 점점 시범운행 소식도 들린다. 경기도 성남시 판교역과 판교 제2테크노밸리를 오가는 자율주행 버스는 내년 2월부터 시범 운행한다. 차량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기 위한 시간대인 매일 오전 10~12시, 오후 2~5시에 제한적 시범운행을 한다. 자율주행 버스 ‘제로셔틀’은 제한속도 시속25km의 11인승 전기차다.


특히 에이다스원은 세계최대 IT 가전 전시회인 ‘CES 2018(Consumer Technology Show)’에 참가해 AEB시스템을 선보일 예정이다. 완성차의 부품형태로 공급되는 것이 아닌 기존 차량에 AEB를 설치함으로서 차량사고방지 및 안전운전이 필요한 부분에 직접 활용이 가능한 것으로 주목할 만하다. 에프터마켓에서의 AEB는 세계최초로 상용화한다는 점이 CES 2018에서 큰 호응을 얻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2018평창 동계올림픽 및 동계패럴림픽에 맞춰 현대차는 커넥티드 및 차세대 수소연료전지 기술이 적용된 미래형 자율주행차를 선보인다.
현대차는 고속도로 장거리 자율주행을 시연하고, 평창에서 누구나 올림픽 기간 중 미래형 자율주행차를 체험해 볼 수 있도록 자율주행시승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올림픽 기간 중 평창 경기장 주변 구간을 왕복 운행하는 자율주행 체험 차량은 자율주행 기술을 갖춘 차세대 수소전기차 5대다. 올림픽을 찾는 선수단, 올림픽 관계자, 관람객 등 누구나 현장 예약을 통해 자유롭게 체험 차량을 이용할 수 있다.
고속도로 자율주행 시연은 교통량과 돌발 변수가 많은 실제 도로에서 단거리가 아닌 수백㎞ 장거리 구간을 통해 진행된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갖는다.
7대의 차량에 적용된 4단계 자율주행 기술은 운전자가 정해진 조건에서 운전에 전혀 개입하지 않고 시스템이 해당 상황에서의 차량 속도와 방향을 통제한다. 현재 4단계 자율주행 기술은 무인자동차를 의미하는 5단계와 함께 완전 자율주행으로 분류된다.
무공해 친환경 셔틀버스도 운행 예정
또한 선수단과 관람객 등을 실어 나르는 3세대 수소전기버스 기반의 무공해 친환경 셔틀버스도 마련했다. 강릉역에서 올림픽 파크까지 운행하는 수소전기 시내버스 4대와 양양국제공항에서 평창 및 강릉까지 별도의 VIP용 수소전기버스 1대를 운용한다.
수소전기차 기반 첨단 자율주행차량이 ICT올림픽, 환경올림픽 등을 표방하는 2018 평창 동계올림픽에 세계인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대한민국의 미래차 경쟁력을 널리 알리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현대차 관계자는 “내년 3월 출시 예정인 차세대 수소전기차 50대를 투입해 평창, 강릉 내 주요 거점에서 누구나 예약을 통해 수소전기차를 시승할 수 있는 체험 프로그램도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지현 기자 jhyi1193@ilyoseoul.co.kr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