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 교감본, 디지털화 제작․보급... 29일부터 인터넷으로 확인 가능
[일요서울ㅣ경북 이성열 기자] 경북도는 27일 한국국학진흥원에서 ‘삼국유사 목판사업(초·중기본) 완료 및 경북도 교감본 추진상황 보고회’를 개최했다.

삼국유사 목판사업은 한국 고대사 연구의 필수 서적 중 하나인 삼국유사의 선본을 저본으로 삼아 서지적 의미의 원형을 상징하는 목판으로 판각하고 이를 인출, 제책하는 사업으로 전국 지방자치단체 중 처음으로 추진했다.
도는 삼국유사 목판사업을 통해 다양한 판본에 대한 완벽한 정리와 이를 정본화 작업의 기초로 활용해 한국 고대사 연구 발전에 일조를 할 수 있게 됐다.
또한 삼국유사의 판각 과정을 모두 기록으로 남기고, 판각 과정의 세부 현황을 담은 보고서를 제작, 배포해 목판문화재의 관리정책 수립과 한국 전통목판 판각기술의 재현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2015년부터 2016년까지 2년 동안 조선중기본, 조선초기본 2종을 차례로 복각(復刻)해 인출(印出)한 후 오침안정법(五針眼訂法) 등 전통방식으로 책을 만들었으며, 올해는 삼국유사에 대한 대중적 접근성을 높이고 많은 사람들이 동시에 활용할 수 있도록 제작해야 한다는 전문가들의 의견을 모아 디지털 아카이브로 구축, 서비스 하는 것으로 경북도 교감본을 제작했다.
당시 최고의 기술을 활용해 삼국유사를 목판으로 판각했다면 조선 초기본을 저본으로 교감한 경북도 교감본은 지금 시점에서 가장 발달된 기술을 활용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도는 검색과 판본 비교가 가능한 디지털 아카이브로 구축하고 실제 목판을 판각하지는 않았지만 사이버 상에서 이를 재현해 그 의미를 이해할 수 있도록 했다. 아울러 향후 수정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둬 지속적인 논의과정을 통해 삼국유사의 원의에 가깝게 판본을 만들어 갈 수 있도록 했다.
특히 현재 시점에서 가능한 학자들의 역량을 모아 조선 초기본을 교감한 경북도 교감본을 인터넷으로 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했다.
경북도 교감본은 29일 일반인에게 공개되며 이 작업을 끝으로 삼국유사 목판사업은 역사의 대미를 장식하게 된다.
우병윤 경북도 경제부지사는 “삼국유사 목판사업은 물질만능, 정보산업 물결 속 인문정신 상실의 시대에 경북도가 이루어낸 역사물로서 후대에 역사복원의 산물로 평가가 기대된다”고 밝혔다.
경북 이성열 기자 symy2030@ilyoseoul.co.kr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