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소환 조사가 검찰의 독자적인 판단에 의한 것이라고 생각하나.
▲ 검찰의 독자적인 판단은 아닐 것이라고 생각한다. 정치탄압이나 표적수사 가능성이 농후한 만큼 수사 배경에 청와대와의 조율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을 것이다.
- 검찰은 “절차적 정당성을 갖췄다 해도 실질적인 대가성이 있으면 뇌물”이라는 논리를 펼치고 있는데.
▲ 정치인 후원금에는 보험성이 내포되어 있다. 검찰의 잣대대로라면 대한민국에서 정치하는 사람들은 모두 범죄자일 것이다.
-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 대응할 수단이 없다. 이건 명백한 검찰권 남용이다. 이러한 무리한 검찰권 행사를 지휘감독해야 할 대통령과 법무장관이 손 놓고 있는데 무슨수로 대응을 하겠는가. 검찰이 기소를 한다면 법원에서 반드시 무죄를 받을 것이다. 무죄가 확정되면 검찰권 남용에 따른 법적 책임을 물을 것이다.
- 분당 정국 과정에서 신주류측으로부터 신당행을 권유 받은 것으로 알고 있는데.
▲ 그렇다. 신주류 핵심인사들이 신당에 참여할 것을 여러 차례 권유한 적이 있다. 교묘한 정치탄압이다.
- 김원기 고문과는 접촉한 적 있나.
▲ 김 고문과는 직접 접촉하지 않았다.
- 분당이 초읽기에 들어갔는데 박 의원의 입장은.
▲ 끝까지 당 분열을 막는데 최선을 다 할 것이다. 어쩔수 없이 분당이 된다면 모든 책임은 신당파에 있다. 책임있는 당에 남겠다.
- 실체적 진실규명은 차치하더라도 잦은 구설수는 내년 총선을 앞둔 박 의원 이미지에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는데.
▲전화위복이 될 것이다. 비온 뒤에 땅이 더 굳어진다는 말도 있지 않은가. 지역민이나 지인들도 한결같이 “큰 정치인으로 거듭나기 위한 통과 의례쯤으로 받아들이라”고 위로하고 있다. 결연히 맞서 유권자들과 주위 사람들의 기대에 부응할 것이다. <철>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