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에 따르면 루브르박물관은 지난 24일(현지시간) 프랑스 내 지류전문가 60여명과 김형진 국민대 교수와 최성일 전주한지장, 김춘호 경북 무형문화재 한지장 전수조교, 이승철 동덕여대 교수 등 한국발표단 4팀이 참여한 가운데 ‘내일을 위한 과거 종이’를 주제로 한 국제 학술회의를 개최했다.
루브르박물관이 세계 각국의 전통종이를 다루는 이번 국제학술회의를 열기까지는 루브르박물관과 유네스코 본부, 바티칸교황청 등 다양한 기록문화를 보유하고 있는 유럽 각국을 넘나들며 전주한지의 우수성을 널리 알려온 김승수 전주시장이 있었기에 가능했다는 것이 관련 전문가들의 일반적인 평이다.
아리안 드 라 샤펠 여사는 이번 국제학술회의에 김승수 전주시장을 공식 초청하는 서한메일을 통해 “루브르박물관에서 주최하는 컨퍼런스 일환으로 한지의 영구성에 대한 학술회의 자리를 마련할 수 있어 대단히 감사하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날 국제 학술회의에서는 김형진 국민대 교수가 ‘독특한 대한민국 한지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주제로 한 발표를 통해 프랑스 지류 전문가들에게 전주한지의 우수성을 소개했다.
특히, 전주전통한지와 전주한지 샘플북은 물론, 전주한지로 복본된 조선왕조실록과 전주 완판본 서적 등 전주한지로 이룩해낸 다양한 성과물도 전시돼 전주한지의 우수성을 유럽 지류 전문가들에게 소개하는 좋은 기회가 됐다.
장 룩 마르티네즈 박물관장도 이번 학술회의에서 대한민국 한지에 대한 무한한 관심을 표명했다.
시는 이번 학술회의를 통해 기존 일본 화지와 중국 선지보다는 내구성과 보존성이 높은 전주한지가 문화재 복원용지로서 더 큰 주목을 받고, 다양한 문화재 복원사업의 전주한지 참여도 늘어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승수 전주시장은 “루브르박물관이 전주한지를 문화재 복원에 활용하고, 관련 학술회의를 연 것은 천년이 지나도 변하지 않는 전주한지의 우수성을 인정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라고 밝혔다.
전북 고봉석 기자 ilyo@ilyoseoul.co.kr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