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 경선에서 탈락한 이재오 의원은 공개편지를 통해 최 대표의 행보에 제동을 걸었다. 이 의원은 11일 ‘존경하는 최병렬 동지께 드린다’는 제하의 공개서한에서 “최 대표가 취임하자 마자 언론에 보도된 개헌론, 젊은 후보론, 노무현 대통령 불인정론, 150억원 한정 특검론 등은 대표로서 적절치 못한 발언이라고 생각한다”면서 “말을 아껴야 한다”고 충고했다. 이 의원은 또 “최 대표는 아름다운 이별로 다섯 동지들의 탈당을 기정사실화했으나 이는 ‘그 정도 진보성향을 포용할 수 없는 당’이라는 한계점만 노출했다”며 “국정능력이 없는 장관들에게 즉각 해임안을 내겠다는 것은 원내총무가 정치공세로 할 내용”이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역시 대표 경선에 참여했던 강재섭 김덕룡 의원 등은 전당대회 이후 당무에 일절 관여하지 않고 있다. 이와관련 수도권의 한 개혁성향 의원은 “전당대회 이후 대표 경선에 참여했던 후보들은 당에 얼굴도 내밀지 않고 있고, 중진들은 불안해하고 있으며, 재선은 초선우대에 불만이 고조되고 있다”며 “자칫 잘못하면 당 분열로 비화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홍 총무도 ‘독선적’이라는 비판과 함께 일부 세력으로부터 총무 사퇴 압박까지 받고 있다. 홍 총무에 대한 당내 비판 고조는 지난 8일 홍 총무가 사전 상의 없이 대북송금 사건에 대한 새 특검법안 중 수사대상을 ‘150억원+α’로 축소해 법사위를 통과시키면서 어느정도 예고됐다.
10일 열린 한나라당 의총은 그야말로 홍 총무에 대한 성토장으로 변했다.첫 발언자로 나선 이해구 의원은 “홍 총무가 독단적으로 대북 비밀송금의 진상 규명이라는 본질을 훼손시킨 특검법안을 통과시킨 것은 심각한 문제”라고 포문을 열었고, 김황식 의원은 “과거 DJ(김대중 전대통령)의 대변인이었던 점이 이번 협상에 결부되지 않았다고 믿고 싶다”고 비꼬았다. 또 홍준표 의원은 “고의적이고 치명적인 잘못이므로 총무는 사퇴해야 한다”며 사퇴론을 꺼내들었고, 심재철·김영선 의원 등은 이에 동조했다.이처럼 최-홍 체제에 대한 흔들기가 본격화되자 당 일각에선 벌써부터 당 분열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철>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