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의 역사> 저자 설혜심 / 출판사 휴머니스트

각 시대별로 소비하는 인간의 역사를 살펴보면, 소비는 인간의 기본적인 삶을 풍요롭게 해주는 발명품을 비롯해 패션용품, 인쇄매체와 같은 고부가가치 상품을 이끌어온 원동력이 되기도 했다. 또 지금의 소비는 소비자의 욕구와 소비공간, 재활용을 해석하는 잣대로 그 스펙트럼을 넓혀가고 있다. 따라서 소비의 역사는 인간의 욕망과 쾌락, 사치와 방탕이라는 도덕적 통념을 벗어나 소비가 포함하는 다양한 요소로 재해석해 필요가 있는 것이다.
그간 주목하기 쉽지 않았던 소비를 역사학의 한 테마로 재해석한 ‘소비의 역사’라는 신간이 출간됐다. 저자 설혜심 박사는 연세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한 후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에서 ‘16~17세기 영국 온천의 상업화’로 박사학위를 받은 재원으로 근대 초 영국사를 주 전공으로 삼아 활발한 연구 활동을 펼치는 한편 역사의 대중화에도 큰 관심을 갖고 있다. 거대한 사료 더미 속에서 끊임없이 새로운 주제를 발굴해 인간의 삶이 중심이 된 역사를 연구하는 사학자로, 그간 경영학과 사회학에서 주로 언급되었던 소비를 역사학의 한 테마로 해석해 냈다.
책은 그간 어떤 역사학자도 주목하지 않았던 소비를 익숙한 물건과 공간속의 인간 행위와 동기를 내밀하게 다뤘다. 근대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인간의 기본적인 삶을 더욱 풍성하게 만들어 준 상품의 역사는 물론 근대적 판매방식과 공간의 역사를 살펴 나갔다. 또 제국주의 영향을 받은 상품이나 불매운동과 같은 행위를 통해 소비 이면에 숨겨진 저항과 해방, 연대의 장구한 역사를 실감나게 설명한다.
저자는 “우리 삶의 큰 부분을 차지하는 소비를 진지한 학문적 주제로 끌어올리고 싶다. 소비를 둘러싸고 이루어진 다양한 논의를 소개하고, 마케팅·경제학·사회학 등에서 따로 다뤄온 소비를 역사학과 접목시킴으로써 훨씬 더 풍부한 논의의 장을 마련하고자 한다. 소비 행위에서 인간의 동기와 목적성을 주목하는 것은 한때 큰 관심을 받았던 일상생활사나 미시사의 연장선에서, 구조에 함몰되었던 인간을 다시 역사의 중심에 세우는 작업이기도 하다. 이 책이 독자들에게 역사의 즐거움을 맛볼 수 있는 단초가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책에서는 “소비는 글로벌 자본주의에 대항할 수 있는 단초를 찾아내거나 국가, 민족, 계급을 초월하는 또 다른 형태의 연대와 네트워크에 주목한다는 점에서 가장 현실 참여적이며 앞서가는 주제라 할 수 있다"고 축약한다.
소비라는 행위를 통해 역사학이 주목하지 않았던 인간의 내밀한 행위와 동기, 그리고 그것이 불러온 사회적 효과를 살핌으로써 더욱 다채로운 인간의 역사를 밝혀낼 수 있을 것이다.
설박사의 또 다른 저서로는 ‘온천의 문화사: 건전한 스포츠에서 퇴폐적인 향락에 이르기까지’ ‘서양의 관상학, 그 긴 그림자’ ‘제국주의와 남성성’ ‘지도 만드는 사람: 근대 초 영국의 국토·역사·정체성’ ‘위풍당당 엘리자베스 여왕’ ‘흑사병의 습격’ 등 이 있다.
김정아 기자 jakk3645@ilyoseoul.co.kr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