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은멸치는 완도수협공판장에서 2㎏에 27만원까지 판매되는 대기록을 세웠다. 이곳 멸치가 고가에 판매되고 있는 것은 아직도 청정해역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서해와 남해의 조류가 교차하는 해남지역의 경우 우수영에서부터 이곳 땅끝까지 거센 조류가 형성돼 적조조차 찾아 볼 수 없다. 이곳 멸치는 맛과 빛깔이 일품이다. 완도 등 다른 지역의 경우 대부분 밤에 멸치잡이를 하지만 이곳은 낮에 조류를 따라 움직이는 멸치를 정치망을 통해 잡기 때문이다. 밤과 낮에 잡는 멸치의 차이에 대해 이 마을 김선재씨는 낮에 잡게 되면 잡어가 섞이지 않으며, 그만큼 조심스럽게 다루기 때문에 상품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이렇게 해서 잡힌 멸치는 모두 완도수협 위판장을 통해 완도산이라는 이름을 달고 판매된다. 그런 탓인지 마을 주민들은 완도에서 잡힌 멸치보다 상품성과 맛이 더 좋은데도 완도산으로 팔려나간데 대한 불만도 적지 않다. 한편 갈두리 어촌계는 땅끝테마파크와 협조해 멸치잡이 체험단을 모집하고 있다. 멸치잡이를 어촌체험관광으로 한단계 업그레이드 시키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전남일보>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