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서울 | 오두환 기자] 부산 여중생 폭행사건이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는 가운데 최근 5년간 일어난 학교폭력사범이 6만3000여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더불어민주당 이재정 의원이 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학교폭력 적발 및 조치결과’ 자료에 따르면 2013년 이후 학교폭력사범은 6만3429명인 것으로 조사됐다. 매년 1만4000여명에 가까운 인원이 학교폭력사범으로 적발되고 있는 것이다.
연도별로는 2013년 1만7385명, 2014년 1만3268명, 2015년 1만2495명, 지난해 1만2805명으로 집계됐다. 올해는 7월까지 7476명이었다.
지방청별 학교폭력사범 발생현황은 서울청이 1만8678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경기청(1만3408명), 인천청(5602명), 충남청(5096명) 등의 순으로 분석됐다.
학교폭력사범이 가장 많이 발생한 상위 10개 경찰서의 경우 경기 부천서, 인천 남동서, 서울 구로서 등 특정 지역이 꾸준히 상위권을 기록하고 있었다.
이 의원은 “학교폭력은 한 개인의 인생을 파괴할 수 있을 만큼 중한 범죄”라며 “최근 그 폭력성과 잔혹성이 도를 넘어서고 있다. 죄에 알맞은 엄중한 처벌은 물론 가정과 사회 전반적인 인성교육을 통한 가치관 확립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5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더불어민주당 이재정 의원이 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학교폭력 적발 및 조치결과’ 자료에 따르면 2013년 이후 학교폭력사범은 6만3429명인 것으로 조사됐다. 매년 1만4000여명에 가까운 인원이 학교폭력사범으로 적발되고 있는 것이다.
연도별로는 2013년 1만7385명, 2014년 1만3268명, 2015년 1만2495명, 지난해 1만2805명으로 집계됐다. 올해는 7월까지 7476명이었다.
지방청별 학교폭력사범 발생현황은 서울청이 1만8678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경기청(1만3408명), 인천청(5602명), 충남청(5096명) 등의 순으로 분석됐다.
학교폭력사범이 가장 많이 발생한 상위 10개 경찰서의 경우 경기 부천서, 인천 남동서, 서울 구로서 등 특정 지역이 꾸준히 상위권을 기록하고 있었다.
이 의원은 “학교폭력은 한 개인의 인생을 파괴할 수 있을 만큼 중한 범죄”라며 “최근 그 폭력성과 잔혹성이 도를 넘어서고 있다. 죄에 알맞은 엄중한 처벌은 물론 가정과 사회 전반적인 인성교육을 통한 가치관 확립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오두환 기자 odh@ilyoseoul.co.kr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