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현장에 동행한 낙동강유역환경청 민희규 연구원은 “물이 흐르는 주변에 논고동과 가재 껍질이 있는 것으로 볼 때 고라니가 먹이를 먹으러 내려왔다가 변을 당한 것 같다”며 “사체 가죽을 봐서 1마리는 4년생, 다른 1 마리는 3년 정도 돼 보인다”고 말했다. 민 연구원은 “너구리 사체의 부패 정도가 심해 넉 달 전에 죽은 것으로 추정된다”며 “너구리가 올무에 걸려 죽어있는 걸 보니 엽구를 이용한 전문 밀렵꾼이 아닌 아마추어 소행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지난 주말 동료들과 함께 산을 오르다 이를 발견한 문형기(46·택시운전사)씨는 “등산하다 보니 고라니 가죽과 털이 여기저기에 흩어져 있어 너무 놀랐다”며 “썩은 냄새가 심해 둘러보니 너구리가 올무에 걸려 죽어 있었다”고 말했다.
문씨는 “발견 당시 너구리 사체 주변에 탄피 1개가 같이 있었다”며 “너무 놀라 창원시청에 전화했는데 당직자가 불법 밀렵신고를 하라며 농업기반공사 전화번호를 가르쳐줘 어이가 없었다”고 지적했다. 창원시 관계자는 “보통 신고가 시청으로 들어오는데 창원에는 이런 일이 잘 없어서 그랬던 것 같다”며 “매달 도청에 실적 보고를 올리는데 직원들이 미처 발견하지 못한 것 같다”고 답했다. 한편 창원시는 이날 오후 야생동물 사체와 올무를 수거하는 한편 밀렵감시단과 일대에 설치된 다른 올무나 덫 등을 수거할 계획을 세웠다. <경남도민일보>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