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시는 각각 1,000만원의 사업비를 들여 10곳의 자전거보관대와 36곳의 횡단보도 턱도 낮춰나가기로 했다. 하지만 시가 자전거도로와 자전거보관대 등만 조성, 설치하는데 노력을 기울일 뿐 시민들의 자전거 타기 붐 조성을 위한 활동은 사실상 도외시해 사업의 효율성을 거둘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이 일고 있다. 자전거도로만 만들어져있지 자전거를 이용하는 사람은 드문 현상이 벌어질지 모른다는 것이다. 현재 시는 자전거 타기 활성화를 위한 사업을 추진중이지만 단순한 교육홍보수준이거나 일회성 대규모행사에 머물고 있다. 그나마 시청사안에 설치한 자전거보관대의 경우에도 이용하는 사례가 거의 드물어 텅텅 비어 있을 정도로 관공서조차도 자전거타기를 외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이 사업의 효율성을 위해서는 시민들의 자전거타기 활성화를 위한 홍보 등의 강화가 시급히 요구된다는 지적이다. 지역대학의 한 교수도 “시민들의 자전거타기운동이 전제되지 않을 경우 자전거도로라든지, 보관대가 무용지물이 될 공산이 크다”며 “시가 막대한 예산을 들여 자전거 도로를 조성하고 있는 만큼 이를 활용하기 위한 구체적인 대책을 서둘러야 한다. 특히 관공서가 우선적으로 이 같은 운동에 참여한 뒤 확대해 나가는 것도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새전북신문>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