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 전 대표는 조작된 제보를 공개하기 4일 전인 지난 5월 1일 이준서 전 최고위원(구속)으로부터 이를 휴대전화 메신저 ‘바이버’로 전달받고 이 전 최고위원과 36초간 통화한 것으로 확인됐다.
조작된 제보를 걸러내지 못한 ‘부실 검증’ 책임은 1차적으로 공명선거추진단에 있지만, 당 보고 절차상 박 전 대표가 사전에 인식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게 검찰의 판단이다.
국민의당 측은 “당시 박 전 대표는 이 전 최고위원이 보낸 카카오톡 제보를 보지 못했고 두 사람 간 통화에서는 이 전 최고위원이 ‘바이버로 보낸 것을 확인해 달라’는 말만 했을 뿐 다른 이야기는 없었다”는 입장이다.
한편, 검찰은 공명선거추진단 단장을 맡았던 이용주 의원을 곧 소환해 조사할 방침이다. 앞서 검찰은 추진단 수석부단장이던 김성호 전 의원과 부단장이던 김인원 변호사를 피의자 신분으로 수차례 소환, 부실검증 고의성 여부와 윗선 개입 등을 조사한 바 있다. 이 의원은 조작된 제보를 이 전 최고위원으로부터 직접 건네받은 것으로 알려진다.
검찰은 제보 조작 사건과 관련해 당 고위인사들의 조사까지 마친 뒤 이달 안에 사건을 마무리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권녕찬 기자 kwoness7738@ilyoseoul.co.kr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