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 대통령의 참모진 구성과 관련한 논란은 이미 정권 출범초부터 제기되어 왔던 문제. 전문관료들이 배제된채 젊은 운동권 세력들로 구성된 청와대 참모진에 대해 너무 편향적인 인사라는 비판과 함께 국정을 제대로 보좌할 수 있을지 의문이 제기됐던 것.하지만 청와대는 이러한 비판과 의문을 잠재운채 이른바 ‘코드론’을 앞세워 참모진 인사를 단행했다.결국 청와대의 편향적 참모진 구성과 이들 참모진들의 아마추어리즘이 작금의 위기상황을 초래했다는 비판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물류대란을 초래했던 화물연대 파업에 대한 대처 과정이나 방미기간 대통령의 전화를 받지 못한 사건 등은 청와대 참모진의 아마추어리즘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다.
청와대 내부에서도 참모진들이 제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는 자성론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정책 결정 과정에서 전문성이나 능력보다는 측근 등 특정 인맥위주로 이뤄지고 있다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문재인 민정수석을 비롯한 이호철 민정1비서관, 최도술 총무비서관 등 노 대통령의 부산 인맥과 유인태 정무수석, 정찬용 인사보좌관, 이광재 국정상황실장 등 핵심 측근들이 정책 결정이나 국정 조정을 도맡아 하는 것도 문제라는 지적이다.<철>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