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 대통령은 이날 베를린 쾨르버 재단에서 가진 연설에서 "평화를 제도화해야 한다. 안으로는 남북 합의의 법제화를 추진하겠다. 모든 남북 합의는 정권이 바뀌어도 계승돼야 하는 한반도의 기본자산임을 분명히 할 것"이라며 "한반도에 항구적 평화구조를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종전과 함께 관련국이 참여하는 한반도 평화협정을 체결해야 한다. 북핵문제와 평화체제에 대한 포괄적인 접근으로 완전한 비핵화와 함께 평화협정 체결을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 4일 북한이 미사일을 발사한 것이 무모하다고 지적하면서 "나는 바로 지금이 북한이 올바른 선택을 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이고, 가장 좋은 시기라는 점을 강조한다"며 "점점 더 높아지는 군사적 긴장의 악순환이 한계점에 이른 지금, 대화의 필요성이 과거 어느 때보다 절실해졌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또 "이제 북한이 결정할 일만 남았다. 대화의 장으로 나오는 것도, 어렵게 마련된 대화의 기회를 걷어차는 것도 오직 북한이 선택할 일"이라며 "그러나 만일 북한이 핵 도발을 중단하지 않는다면 더욱 강한 제재와 압박 외에는 다른 선택이 없다. 한반도의 평화와 북한의 안전을 보장할 수 없게 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편 문 대통령은 남북 접촉과 대화 재개를 바라면서 오는 10월 4일 추석 기간에 이산가족 상봉과 성묘를 제안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이산가족 상봉행사를 개최한다면 남북이 기존 합의를 함께 존중하고 이행해 나가는 의미 있는 출발이 될 것"이라며 "북한이 한 걸음 더 나갈 용의가 있다면, 이번 이산가족 상봉에 성묘 방문까지 포함할 것을 제안한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남북 접촉의 한 방법으로 내년 2월 강원도 평창에서 열리는 평창동계올림픽에 북한 선수단이 참가할 것을 희망했다. 문 대통령은 "북한의 평창 동계올림픽 참가에 대해 IOC에서 협조를 약속한 만큼 북한의 적극적인 호응을 기대한다"고 긍정적 결과를 바랐다.
문 대통령은 또다른 한반도 평화 구상으로 군사분계선에서의 적대행위 상호 중단과 남북 대화 재개를 언급했다. 이를 위해 북한의 김정은 위원장과도 대화할 용의가 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대선 후보 시절에도 북한과 직접 대화할 의지를 밝혀왔다.
문 대통령은 "올해 7월 27일은 휴전협정 64주년이 되는 날이다. 이 날을 기해 남북이 군사분계선에서 군사적 긴장을 고조시키는 일체의 적대행위를 중지한다면 남북 간의 긴장을 완화하는 의미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한반도 평화와 남북협력을 위한 남북 간 접촉과 대화도 재개하자"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나아가, 올바른 여건이 갖춰지고 한반도의 긴장과 대치국면을 전환시킬 계기가 된다면 나는 언제 어디서든 북한의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만날 용의가 있다"고 밝혔다.
홍준철 기자 mariocap@ilyoseoul.co.kr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