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사와 태양광발전 겸작, 작물 수확과 전력생산 모두 가능
[일요서울ㅣ진주 이도균 기자] 한국남동발전(사장 장재원)이 국내 최초로 계통연계 영농형 태양광발전개시에 성공하면서 신재생에너지 사업의 새로운 모델 구축과 농가소득 증대라는 일거양득의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영농형 태양광은 기존 농지 상부에 태양광 발전설비를 설치하고 하부에는 벼 등 작물을 재배하는 방식으로, 식물 생육에 필요한 일조량을 투과할 수 있는 구조로 설비를 구축해 기존의 벼농사를 그대로 지으면서 태양광 발전을 통해 전기를 생산하는 형태이다.

남동발전은 이번 발전개시를 통해 국내 최초로 영농형 태양광을 전력계통에 연계해 전기를 판매하는 단계를 실현했고, 이를 통해 좁은 국토를 효과적으로 활용한 새로운 형태의 신재생에너지 사업 개발과 농민들의 농가소득 개선을 기대할 수 있게 됐다.
쌀 농가의 경우 영농형태양광 발전을 통해 약 3배 이상의 순이익을 창출할 것으로 남동발전은 기대하고 있으며, 농가당 평균경작 면적인 5100평을 기준으로 농가당 순이익이 760만 원에서 2400만 원까지 증대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와 함께 올 하반기에 유관 기관간 협업을 통해 밭농사를 병행하는 영농형 태양광 실증사업을 추진, 다양한 작물에 최적화된 태양광 발전시스템을 개발하고 향후 주민참여형 사업으로 확장시킬 방침이다.
장재원 한국남동발전 사장은 "영농형 태양광은 농가 소득을 향상시키고, 좁은 국토를 활용한 신재생 에너지 사업의 새로운 모델로서 기대가 높다“면서 “이번 사업을 진행하는데 있어 고성군과 지역주민들의 적극적인 협조가 있었다는 점에서 볼 수 있듯 영농형 태양광 사업은 신재생에너지의 주민수용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범국가적인 해결책이 될 것으로본다"고 말했다.
경남 이도균 기자 news2580@ilyoseoul.co.kr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