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문경온천과 민간온천장이 마주보고 있는 문경읍 하리의 온천지구는 문경온천자리가 아니더라도 얼마든지 온천수를 이용할 수 있으며 문경온천 바로 뒤에도 수천평의 놀고 있는 시유지가 있을 뿐 아니라 나머지 12개 읍면동에도 훌륭한 장소가 많아 시민들의 이해를 구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박시장 취임후 시의 대부분의 관광개발사업을 비롯한 투자와 행사 등이 박시장의 사업체들이 있는 문경읍에 독점되는 상황에서 볼 때 문경온천은 그대로 유지 돼야 하며 온천폐쇄는 시기상조라는 의견이 우세한 실정이다.이런 가운데 시가 사업을 강행하고 있는데도 일부 단체들이 병원을 빨리 건립할 것을 촉구하는 성명서 등을 문경시와 문경시의회에 제출하자 그 시기가 부 적절하다는 지적과 함께 그 배경을 두고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시가 이들의 촉구 성명서를 계기로 문경온천의 폐쇄 명분을 확보했다며 한층 고무돼 있는 분위기지만 정작 시청소재지가 있는데도 낙후되고 있는 (구) 점촌시내 주민들을 비롯한 12개 읍면동 주민들의 반응은 썰렁하기만 하다.사실 노인병원설립 자체를 반대하는 시민이 거의 없을 뿐더러 이런 식으로 촉구하지 않아도 시가 강력히 추진하고 있을 뿐 아니라 장소선정을 재검토하라는 시민단체와 주민들의 요구가 마치 노인병원을 반대하고 있는 것처럼 비춰지고 있는 것에 대한 우려도 한 몫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지에 보도돼 문경온천살리기추진위원회가 발족되고 문경온천 매입 희망자가 나타나는 등 지역의 이슈로 3개월 이상이나 논란이 돼 왔으나 이번 노인병원설립촉구성명서는 최근 처음 제출됐다.문경온천살리기추진위원회(대표 김윤기)는 “노인요양병원이 들어서는데 왜 시민들의 재산인 문경온천이 없어지느냐”는 논리다.
이들은 또 “문경온천을 매각하면 시 세외수입에 보탬이 되는데도 매입 희망자가 계약금 3억 및 잔금전액통장을 가지고 지난 4일 시를 방문했으나 박시장 등이 만남 자체를 회피한 것은 이해할 수 없다”며 “특히 박시장이 매입희망자가 있으면 지금이라도 팔겠다는 시민단체와의 약속을 위반한 것에 대해서는 법적 조치를 강구하겠다”고 밝혔다.지역의 다른단체와 대다수의 시민들도 “자체 합의를 이끌어내지 못한 문경읍의 일부단체와 말단행정조직인 이장 등이 앞장서 서명을 받은 노인병원설립촉구 성명서는 그 시기와 배경에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며 “차라리 문경온천 폐쇄 찬성서명운동을 받는 것이 더 바람직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고도현 객원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