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특산품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지난해 부산청게로 특허청에 상표등록 완료해

연구소는 어업인의 고소득원이며 지역특산품종인 톱날꽃게를 2010년 전국 최초로 인공종자 생산한 후, 대량생산에 성공했고 지난해까지 총 97만 7천 마리의 어린 톱날꽃게를 방류했다.
또 톱날꽃게를 지역 특산품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지난해 '부산청게'로 특허청에 상표등록을 완료했다. 톱날꽃게의 양식방법 및 생태를 연구하기 위해 올 5월부터 가덕도 눌차 연안에 청게야외시험양식을 실시할 예정이다.
톱날꽃게는 낙동강 하구 수역에 집단 서식하는 특산 품종으로, 육질이 단단하고 맛이 좋아 미식가들 사이에서는 가을철 별미로 알려져 있다. 성수기는 9~10월이나 수요량에 비해 어획량이 적어 고가에 판매되고 있는 품종으로 지역 어업인들의 선호도가 높다.
서병수 부산시장은 “톱날꽃게에 대한 체계적인 자원관리를 위해 앞으로도 지속적인 방류를 추진하고 나아가 지역 어업인들의 소득증대에 기여할 수 있도록 산업화에도 노력하겠다”라고 전했다.
부산 이상연 기자 ptlsy@ilyoseoul.co.kr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