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기관 이전지 보상금 노린 발 빠른 묘목 식재
정부기관 이전지 보상금 노린 발 빠른 묘목 식재
  • 경남 이도균 기자
  • 입력 2017-04-14 10:10
  • 승인 2017.04.15 21: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일부 공무원들 동참 여론
[일요서울ㅣ진주 이도균 기자] 경남 진주시 이반성면에는 농번기가 시작되는 철이지만 농지에 때 아닌 묘목심기에 열을 올리고 있는 농가들이 있다.
진주시 초전동 소재 경상남도 농업기술원이 이곳 이반성으로 이전하기 위해 대상지를 경상남도공고 제 2016-1617로 지난해 12월 29일로 토지거래계약에 관한 허가구역 지정공고를 공고한 바 있다.

경남도가 공고한 면적은 진주시 이반성면 대천리 ,가산리 등 0.9㎢(788필지)로 지정기간은 2017년 1월4일부터 2020년 1월 3일까지 3년간 이다.

이곳은 진주시 동부지역에 위치하며 경남 수목원이 있지만 아직까지 낙후된 농촌지역으로 농업기술원이 이전하면 인근 지역 경제여건이 현저히 나아짐은 물론 동부5개면(일반성.이반성.사봉.진성.지수면)의 발전에 큰 도움이 된다는 기대감속에 부풀어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가운데 지금 이곳에는 보상금을 한 푼이라도 더 받기위해 농지에다 나무를 심어 보상금을 올리기 위해 열을 올리는 것이 눈에 띄고 있다.

물론 원주민들은 유실수로 농사를 짓는 농가들도 많이 있지만 갑자기 나무를 심는 것은 농지보상이 시작되면 농지보상 이외에 나무 이설비를 덤으로 보상받기위해 이렇게 양심불량적인 행동을 하고 있어도 아직까지 단속(?)의 근거가 없는게 문제다.

그리고 무엇보다 일부 공무원들이 이곳에다 나무를 식재한다는 소리까지 공공연하게 나돌고 있어 돈 앞에는 청렴해야 하는 공무원들도 별수 없다는 비난을 받고 있어 단 몇 사람 때문에 공무원전체가 욕을 먹고 있는 실정다.

아울러 이 지역에서 농사를 짓는 N모씨는 “행정공무원이 공공기관 이전정보를 이용해 보상비를 노리고 농지에 나무를 식재하는 것은 국민을 위해 일해야 하는 공직자로서의 모습이 아니다”며 “보상금 몇푼 더 받자고 양심을 파는 사람들을 보면 한심서럽다. 보상금이 하늘에서 떨어지는 것도 아니고 결국 우리 세금으로 나가는데 해도 너무한다”며 이들의 행위를 비난의 목소리를 높였다.

한편 이곳 농지에 식재된 나무의 보상에 대해서는 토지거래계약에 관한 허가구역 지정공고 이전에 심어진 묘목이 아닌 나무는 항공촬영으로 확인할 수 있어 보상은 되지 않을것이라는 여론과 함께 아직 감정이 끝나지 않아 결국은 보상을 하게 될 것 이라는 말들로 설왕설래하고 있다.

경남 이도균 기자 news2580@ilyoseoul.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