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말까지 219개 읍면동 복지허브화, 내년까지 전 읍면동 복지허브화 완료
[일요서울ㅣ경남 이도균 기자] 경남도는 올해 말까지 219개 읍면동 주민센터를 복지허브화 한다고 11일 밝혔다.

도는 총 315개 읍면동 중 지난해 말까지 105개 읍면동에 복지허브화 조직을 설치했다. 올해 114개 읍면동에 추가로 복지허브화 조직을 설치하고 나머지 읍면동은 내년까지 완료한다.
사회복지 예산의 지속적인 확대에도 불구하고 낮은 복지체감도, 고독사, 아동·노인학대, 경제적 위기로 인한 자살 등 복지사각지대 문제가 계속 발생하여 복지전달체계 개편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또 도는 2018년까지 도내 전 읍면동을 복지허브화하여 어려운 계층이 읍면동 주민센터를 방문하여 도움을 요청하면 지원을 했던 소극적 단계를 벗어나 공무원이 직접 어려운 계층을 발굴하여 지원을 하는 적극적 복지 패러다임으로 전환한다는 방침이다.
복지허브화 시행지역 중 복지차량 보급을 희망한 125개 읍면동에 전기자동차 82대, 가솔린차량 43대를 지원하여 저소득층·취약계층에 찾아가는 복지상담과 맞춤형서비스를 제공하여 복지사각지대를 해소하고 복지체감도를 높인다.
아울러 복지공무원의 안전한 업무수행을 위해 읍면동별로 안전지킴이 3대씩 총 657대를 보급한다. 안전지킴이는 업무 중 발생하는 응급상황에 긴급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고안된 대인형 안심서비스이다. 폭언상황 녹취, 직장 동료에게 응급호출발신, 지자체 CCTV 관제센터로 위치전송, 경찰서에 응급호출 신고 등으로 복지공무원의 업무수행에 따른 위험요소를 제거한다.
한편 홍민희 도 복지보건국장은 “읍면동 복지허브화 확대 시행으로 한층 밀도 있는 현장밀착형 복지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도민이 체감하는 맞춤형 복지가 실현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경남 이도균 기자 news2580@ilyoseoul.co.kr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