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명시 양기대 시장, 국제 도시외교 적극추진 의지밝혀
광명시 양기대 시장, 국제 도시외교 적극추진 의지밝혀
  • 경기 서부 김용환 기자
  • 입력 2017-04-10 08:59
  • 승인 2017.04.10 08:5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중 관계 악화에도 불구하고 한·중·러 3개도시 경제관광 포럼 및 문화체육 제전 성황
양기대 광명시장 7일 교통방송(TBS) TV '유용화의 시시각각' 출연
7일 TBS 유용화의 시시각각 출연해 유라시아 대륙철도와 국제관광도시 비전 전해
“새 정부 남북관계 개선되면 광명동굴에서 백두산까지 관광코스 개발될 것”

 
[일요서울 | 광명 김용환 기자] 양기대 광명시장은 “인구 35만의 작은 도시 광명이 이제 관광객 200만 시대를 맞아 대한민국을 넘어 국제적인 관광도시로서의 입지를 확고히 다지겠다”며 국제관광도시로서의 광명시의 비전을 밝혔다.
 
양 시장은 지난 7일 오후 교통방송(TBS) TV ‘유용화의 시시각각’ 프로그램에 출연해 “7년 전인 2010년 관광객 수가 3천명으로 경기도 31개 시·군 중 최하위였던 광명시가 지난해 210만 명이 될 정도로 관광도시로서의 입지를 굳혔다”며 그 1등 공신으로는 광명동굴을 꼽았다.
 
양 시장은 “40년 폐광이었던 광명동굴에 지난해까지 유료관광객 234만 명, 총 누적관광객 332만 명이라는 대기록을 세워 한국 대표 100대 관광지에 선정될 정도로 성장했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 3월 27일 영국 런던대학교에서 열린 국제 심포지엄에서 광명동굴을 소개했던 사례를 들어 “세계적인 전문가들로부터 광명동굴이 산업유산을 재활용한 도시재생의 대표적인 모델로 인정받았다”고 설명했다. 광명시는 지난달 27일부터 이틀간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 최초로 런던대학교에서 도시재생 국제 심포지엄을 대학측과 공동으로 개최했다.
 
양 시장은 사드배치 보복의 여파로 인한 중국인 관광객 감소에 대해 묻는 앵커의 질문에 “정부 차원의 군사·외교적인 문제가 잘 매듭짓길 기대하면서 지자체 차원에서 추진할 수 있는 도시 간 교류협력을 꾸준히 진행해 나가면 실질적인 성과로 나타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답했다.
 
또 양 시장은 “유라시아 대륙철도 시대에 대비해 중국·러시아·몽골의 철도 요충도시와 적극적인 교류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광명시는 KTX광명역을 유라시아 대륙철도의 출발역으로 육성하기 위해 중국의 훈춘시, 단둥시, 러시아 하산군과 교류협약을 체결하고 지난달 한·중·러 3개도시(단둥 제외) 경제관광 포럼과 문화체육 대제전을 성공적으로 치렀다.
 
아울러 올해는 몽골의 울란바토르와 러시아 이르쿠츠크시와 교류협약을 추진하며 국제관광 도시로서의 입지를 확고히 한다는 계획이다. 양 시장은 “각 지방정부의 특징을 살려 교류협력을 강화하면 각 도시의 발전은 물론 중앙정부와 국민들 간의 관계개선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TBS TV ‘유영하의 시시각각’은 월~금 2시부터 방송되며 케이블TV 216번과 IPTV를 통해 시청할 수 있다.

경기 서부 김용환 기자 news7004@ilyoseoul.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