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14, 16 대 대선에서 충청지역 표심이 당락에 결정적인 영향을 준데 이어 2004년 17대 총선과 지난 5·31 지방선거에서 각기 다른 민심이 드러남에 따라 새 정치구도 형성여부가 주목되고 있다.
이와관련, 대선준비에 나서고 있는 유력 예비주자와 정당들은 지역연대나 이념중심의 정계개편, 후보간 연대등의 ‘정치연합’을 모색하면서 대선의 결정적 변수인 충청표를 잡기 위한 전략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예비주자로 꼽히는 열린우리당의 김근태 의장·정동영 전의장, 한나라당의 박근혜 전대표·손학규 전경기지사·이명박 전서울시장, ‘희망연대’의 고건 전총리 등도 지역표심 잡기 경쟁에 돌입했다. 일부는 벌써부터 민심탐방과 공약제시 등을 통해 대전·충남북 지역을 넘나들고 있으며, 다른 예비주자들도 지역내 유력인사를 영입하면서 세를 불리고 있다.
각 정당들도 2000년 이후 몇차례 치러진 선거에서 각기 다른 표심을 보인 충청지역을 장악하기 위한 준비작업에 분주하다. 열린우리당은 17대 총선에 이은 정권 재창출 기반마련에 나서고 있고, 한나라당은 5·31 지방선거의 여세를 몰아 정권교체에 대한 의지를 다지고 있다. 민주당과 민주노동당, 국민중심당도 독자세력화를 강화하면서 전열정비에 나서고 있다.
또한 충청지역은 역대 대선마다 위력을 발휘한 ‘정치연합’이 다시 재현될 것인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14대 대선에선 3당 합당을 통해 JP(김종필)가 김영삼 후보(민자당)를 도왔고, 15대 대선에선 김대중 후보(새정치국민회의)와의 DJP연합, 16대 대선은 노무현 후보(새천년민주당)의 ‘행정수도 충청권 이전’공약이 충청민심의 지지를 받았다. 15, 16대 대선에선 충청유권자의 투표가 대세를 가르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었다. <대전일보>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