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시민 200여명과 200여대 차량행렬 그린파워사무실 항의방문
[일요서울ㅣ사천 이도균 기자] 사천시민대책위원회는 지난 14일 오전 '고성화력발전소' 건설과 관련해 사천시청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다. 
지난해 9월 국내 석탄화력발전소가 소재한 전국 시·군에 대한 당기순이익 대비 예산을 지원한 현황이 국감자료에서 밝혀졌듯이 삼천포화력발전을 운영하고 있는 남동발전의 경우 당기순이익이 2175억 원인데 자체예산 규모는 고작 0.0046%그친 것으로 나타나 주변지원에 관한 법률 등 법으로 정한 지원 외 남동발전의 사회공헌기금은 전무하다고 했다.
대책위는 시민을 더욱 분노하게 하는 것은 발전소 인근 소재지와의 차별을 들며 사천시민의 권리를 찾지 못한 통한의 시간 속에서 자치권은 훼손됐고 주변지원금은 형편없이 적었으며 자원은 고갈되고 주민의 생명까지 위협받고 있다고 주장했다.
현재 삼천포화력발전소 주변지역에는 94%가 사천시민이 살고 있으며 발전소가 내뿜는 미세먼지로 직접적인 피해 또한 사천지역주민이 절대적인 피해를 입어 왔다. 최근 국제환경기구인 그린피스의 발표에 의하면 ‘고성하이화력발전소로 인한 조기사망자수’가 연간 60여명에 이르고 “발전소 사용연한을 40년으로 가정하면 조기사망자수는 약 2400여 명에 이른다”는 결과가 발표돼 화력발전소건설은 ‘살인면허’로 불려진다고 했다.
그동안 삼천포화력발전소가 소포제(거품 제거제)온배수를 수십년에 걸쳐 바다에 방류한 것으로 지난해 9월 밝혀 졌는데 이는 유독성 물질인 디에틸폴리실록산이 포함돼 있어 어류는 물론 사람에게도 호흡기 손상 등을 일으키는 유해물질로 해양관리법은 이를 '유해액체물질'로 분류하고 있다.
이 때문에 '바다의 죽음' 현상은 해수온도의 상승으로 갯바위에 붙어 있는 미역, 다시마와 같은 해조류가 녹아내리고, 바다 밑이 단단하게 굳어져 갯벌이 썩어가 한려해상의 중심, 아름다운 사천의 바다 생태계가 삼천포화력발전소 때문에 신음한지 34여 년나 됐다.
더욱이 2012년 8월 28일 태풍 ‘볼라벤’의 영향으로 석탄운반선이 좌초돼 약 4만9000여 톤의 석탄이 신수도 뒷편 수중에 지금까지 그대로 방치돼 수거는 않고 뒷짐만 진채 바다 생태계를 파괴시키고 있다. 최근 사천시는 전국 지자체 최초로 ‘발전소로 인한 사전피해 예측 조사’를 실시했는데 고성하이화력발전소의 환경영향평가에 많은 문제가 있음이 지적됐다.
2015년 환경부에서 발표된 자료에 의하면 삼천포화력발전소가 내뿜는 대기오염물질은 전국 1위로 연간 3만5343톤에 이르며 전국대비 8.8%를 차지해 삼천포화력발전 주변지역이 대기오염에 가장 심하게 노출돼 있다는 증거다,
이에 당장 시급한 것은 2개의 화력발전소 전용 ‘우회도로 개설’이다. 지난 2월 23일 착공식 때 ‘고성하이화력발전소를 친환경 명품발전소'라고 자찬것을 두고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화력발전소가 친환경 명품발전소라는 것은 어불성설이다고 비난했다.

최근 시민환경연구소의 보고된 자료에 의하면 “신규발전소 건설·운영 시 연간 8만8693대(25.5톤 기준), 하루 평균 243대(시간당 10대)의 건설차량이 운행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현재의 도로상황을 감안하면 대형운송차량이 도심을 통과할 수밖에 없으며, 이로 인한 교통체증과 교통사고유발위험, 도로파손, 소음과 환경오염 등 수많은 문제에 직면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우회도로 개설은 협상의 대상이 아니라는 것을 엄중히 경고한다. 수차례의 요구에도 묵묵부답으로 일관하고 있는 발전소건설사에게 사천시민의 힘과 뜻을 강력히 전달해야한다고 밝혔다. 오는 3월 21일 오후2시 삼천포종합운동장에서 시민 200여 명과 200여대의 차량행렬이 고성하이 그린파워사무실로 항의방문 할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지난해 SK가스는 고성그린파워에 30년간 9조6500억 원 규모의 석탄을 공급하기로 계약했다고 공시했다. 계약 기간은 2020년 10월 31일부터 2051년 4월 30일까지다. 연간 공급량은 195만t이다.
사천시민들은 34여 년 동안 삼천포화력발전소의 쥐꼬리 지원비를 받으며 병들고 일부 사람은 죽었는데 앞으로 또 고성화력발전소가 준공 된 2020년부터는 2개의 화력발전소가 내뿜어 대는 대기오염 등에 시민들은 더욱 고통에 시달려야 할 처지다고 호소했다.
경남 이도균 기자 news2580@ilyoseoul.co.kr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