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대통령의 재신임 선언을 철회해야 한다는 여론이 있는데.
▲이미 국민들과 약속한 일이다. 다시 주워담는 것은 노대통령과 열린우리당의 향후 정치적 입지에 전혀 도움되지 않는다. 재신임 투표가 정치개혁의 커다란 계기가 될 것이다. 노대통령도 재신임 투표로 인해 도덕성에서 지유로워져야 한다. 또 노대통령 스스로가 자기성찰과 반성의 기회를 가져야 한다.
-열린우리당에서는 노대통령의 선 국정쇄신을 요구하고 있다. 재신임 선언후 국정쇄신을 하겠다는 노대통령의 뜻과는 다르지 않나.
▲선쇄신을 단행해야만 재신임투표에서 압도적 지지를 받을 수 있는 것 아닌가. 노대통령이 직접 나서서 쇄신후 재신임투표를 하자고 한다면 야당의 공격을 받을 수밖에 없다. 그래서 우리당이 나서는 것이다. 대통령이 할 수 없는 일을 열린우리당이 요구함으로써 관철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열린우리당에서도 노대통령의 국정운영에 문제가 있다고 인정하는 건가.
▲몇가지 문제가 있다는 것은 인정해야 한다. 가장 큰 문제는 노대통령의 리더십에 있다. 지난 8개월간 대통령으로서 역할수행에 있어 부족한 점이 많았다. 언행부터 조심했어야 했다. 또 ‘네탓’이라는 자세로 접근하다보니 문제의 원인 밖에 찾지 못하게 됐다. 그것은 바람직한 접근방식이 아니다. “내탓”이라는 자세로 접근했어야 했다.
가장 큰 문제는 이른바 ‘코드정치’로 일관된 청와대시스템에 있다. 이번에 열린우리당에서 이광재 국정상황실장의 경질을 요구한 것도 그러한 맥락에서다. 청와대 수석 비서관은 각 내각을 조율하는 중요한 자리임에도 불구하고, 그에 맞는 적재적소의 인사가 이뤄지지 않았다. ‘코드’에 초점을 두다보면 ‘편견’에 빠질 수밖에 없다. 또 대언론 관계에도 문제가 있었다. 언론개혁은 건강한 긴장관계에서 이뤄져야 하는 데 소모적 정쟁으로 언론과 적대적 관계에 놓일 수밖에 없었다. 대통령 스스로가 언론을 적으로 여겨선 안되고 건강한 긴장관계를 유지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일각에서는 열린우리당이 민주당을 배신한 당이라고 한다. 이에 대한 생각은.
▲어떻게든 분당만은 막으려고 수차례 노력해왔다. 다들 보지 않았나. 당개혁을 위한 논의과정에서 양측이 극한 상황까지 오게 됐고 어쩔 수 없이 분당을 선택한 것이다. 배신했다는 표현은 바람직하지 않다.
-열린우리당이 내년 총선에서 승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보나.
▲노대통령과 우리당은 이미 한배를 탔다. 노대통령이 어떻게 되느냐에 우리당의 존폐가 달려있다. 대통령의 추락은 곧 우리당의 몰락을 의미한다. 대통령이 국정운영을 잘해 국민적 지지를 받을 수 있도록 뒷받침해주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은>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