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시, 지역사회 복지서비스 개선을 위한 투자사업 전개
부천시, 지역사회 복지서비스 개선을 위한 투자사업 전개
  • 경기서부 김용환 기자
  • 입력 2017-01-25 13:16
  • 승인 2017.01.25 13:1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31일부터 2월 10일까지 주소지 동 주민센터에서 접수

[일요서울 | 부천 김용환 기자] 부천시는 지역특성과 주민 수요에 맞는 사회서비스를 맞춤형으로 제공하는 ‘2017년 지역사회서비스 투자사업’을 확정하고 오는 2월 10일까지 참여자를 모집한다.

지역사회서비스 투자사업은 이용자에게 현금이 아닌 이용권(바우처)을 발급하여 원하는 서비스와 제공기관을 선택하도록 하는 제도이다.

올해 부천시의 지역사회서비스 투자사업은 ▴우리아이 심리지원 서비스 ▴장애인 보조기기 렌탈서비스 ▴아동 비전형성 지원서비스 ▴정신건강 토탈케어 서비스 ▴시각장애인 안마서비스 ▴통합가족상담서비스 ▴장애인 맞춤형 운동서비스 등이다.

우리아이 심리지원 서비스는 만 18세 이하 아동 중 문제 행동에 대한 의사진단서(소견서) 또는 임상심리사, 청소년상담사의 소견이 있거나 정신보건센터, 교육기관 교사, 유치원장, 어린이집원장의 추천에 의해 서비스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아동을 대상으로 한다. 아동의 증상에 따라 놀이, 언어, 인지, 미술, 음악프로그램 등 필요한 서비스를 월 4회 이상 제공하고, 여건에 따라 부모상담 등 부가서비스도 제공한다.

장애인 보조기기 렌탈서비스는 만 24세 이하 장애아동·청소년(단, 6세미만은  서비스가 필요하다고 인정한 의사진단서가 있는 경우 인정), 지체 또는 뇌병변 아동·청소년, 척수장애 또는 근위축증으로 의사 소견서 및 진단서 발급이 가능한 아동·청소년에게 보조기기를 대여하는 사업이다. 이와 함께 성장단계별 맞춤 지원, 보조기기 점검 및 유지보수, 상담서비스 등을 제공한다.

아동 비전형성 지원서비스는 만 7~15세 아동을 대상으로 체계적인 사회 문화 활동과 자기주도력 향상프로그램을 통해 미래 비전형성을 지원하는 서비스이다. 비전형성(리더십, 진로탐색 등), 체험, 참여활동모듈 3가지 유형으로 진행된다.

정신건강 토탈케어 서비스는 만 19세 이상으로 정신과 치료가 필요하다는 의사진단서나 소견서 발급이 가능한 사람 또는 정신장애인(정신과 병원 입원자는 제외)을 대상으로 한다. 초기상담을 거쳐 위기상황 개입, 증상 관리, 일상생활지원 등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여건에 따라 가족교육, 여가활동 지원 등 부가서비스도 받을 수 있다.

시각장애인 안마서비스는 안마, 마사지, 지압 등 수기 및 기타 자극요법에 의한 안마서비스이다. 근골격계, 신경계, 순환계 질환이 있는 만 60세 이상 어르신, 국가유공자 예우에 관한 법률에 의해 상이등급판정을 받은 자 중 상기 질환자 또는 지체 및 뇌병변 등록 장애인을 대상으로 월 4회(회당 1시간) 제공된다.

통합가족상담서비스는 만 18세 이하 아동이 포함된 가정(2인 이상) 중 정서적 지원이 필요한 가족을 대상으로 한다. 위기별 문제에 따른 가족의 주된 문제를 확인하고 목표설정과 상담을 통해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한다.

장애인맞춤형운동서비스는 만 4~70세 이하 등록 장애인을 대상으로 한다. 장애인의 건강 유지와 증진에 필요한 찾아가는 맞춤운동 서비스를 제공해, 체력강화와 자발적 생활습관 형성을 돕는다.

기준중위소득 120 ~ 170%이하(사업별로 다름) 가구를 대상으로 오는 31일부터 2월 10일까지 참여자를 모집한다. 신분증, 건강보험증, 서비스별 추가서류를 구비해 주민등록상 거주지 동 주민센터를 방문하면 된다. 이용자로 선정된 대상자는 신청한 달의 다음 달부터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다.

김정길 부천시 복지정책과장은 “지역사회서비스 투자사업은 사회서비스 제공을 통해 시민의 삶의 질 향상과 제공기관의 일자리 창출을 동시에 총족할 수 있는 사업인 만큼, 서비스가 필요한 대상자 모두에게 동등한 기회가 제공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경기서부 김용환 기자 news7004@ilyoseoul.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