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단체는 특히 빈곤문제 무대책, 국민연금법개악 등 8개 복지정책 실패항목을 묶어 개혁실종 원인이 김화중 장관에게 있다면서 퇴진을 공식 요구하고 나섰다.김 장관 퇴진 이유에 대해 시민단체는 “김 장관은 병원협회, 의료협회 등 이익단체의 로비를 수용해 의료재정 절감의 유력한 대안인 포괄수가제 전면시행 방침을 철회했다”며 “의료기관 서비스의 질을 평가해 의료소비자인 국민에게 선택의 기회를 제공한다는 취지로 진행돼온 의료기관서비스 평가제도를 평가주최로 병협을 선정해 그 취지를 무색케 했고, 의견수렴과 논의 절차도 없이 보육업무의 여성부 이관을 돌출적으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대한의사협회, 약사회 등 6개 보건의료직능단체는 지난 14일 “지금은 복지부장관 퇴진을 논의할 시기가 아니며, 장관의 임기는 보장돼야 한다”며 김 장관을 옹호하고 나섰다. 이들 단체들은 “시민단체가 복지부장관이 포괄수가제(DRG) 전면시행을 철회한 것은 의약계의 요구에 굴복했기 때문이라고 주장하는 것은 단편적인 주장에 불과하다”고 강조했다.이어 “시민단체들이 취임 8개월밖에 안된 김 장관을 시도 때도 없이 흔든다면 보건복지정책이 커다란 혼란에 빠질 것”이라며 “김 장관의 합리적 개혁의지를 적극 지지한다”고 덧붙였다. 김 복지부장관의 퇴진을 놓고, 시민단체-보건의약단체간의 대립이 어떤 양상으로 발전할 지 귀추가 주목된다.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