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 물에 녹는 메모리 소자 개발
국내 연구진, 물에 녹는 메모리 소자 개발
  • 오유진 기자
  • 입력 2016-12-22 17:57
  • 승인 2016.12.22 17:5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일요서울 | 오유진 기자] 국내 연구진이 물에 쉽게 녹는 메모리 소자를 개발해 화제다. 이에 정보유출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보안용 반도체 활용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KAIST는 22일 전기및전자공학부 최양규 교수 연구팀이 물에 녹여 빠르게 폐기할 수 있는 보안용 메모리 소자를 개발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는 소량의 물로 약 10초 이내에 용해시켜 저장된 정보를 파기시킬 수 있는 메모리다.

연구팀은 물에 쉽게 녹는 종이비누(Solid Sodium Glycerine) 기판 위에 잉크젯 인쇄 기법을 통한 메모리 소자를 제작하는 데 성공했다.

이 메모리 소자는 알칼리 금속 원소인 소듐(Sodium)과 글리세린(Glycerine)을 주성분으로 하고 친수성기를 가져 소량의 물에 반응해 분해된다. 또 잉크젯 인쇄 기법을 통해 금속 전극을 상온 및 상압에서 증착, 용해 가능한 전자소자를 만들었다.

연구팀은 “이렇게 만들어진 메모리 소자는 다른 보안용 소자보다 제작 비용도 저렴해 비용 절감 효과가 매우 크다”고 설명했다.

오유진 기자 oyjfox@ilyoseoul.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