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서울 | 전북 고봉석 기자] 태조, 영조, 철종 등 조선시대 왕들의 초상화인 어진과 똑같은 모사본이 처음으로 완성돼 공개된다.
지난 9일 전주시에 따르면, 어진박물관은 올해 준원전 청포본 태조어진과 경기전 홍포본 태조어진, 영조어진, 철종어진 등 어진 4점에 대한 모사(模寫)본을 제작했다.
먼저 경기전 홍룡포본 태조어진은 전통 초상화가로 잘 알려진 권오창 화백이 모사한 작품으로, 경기전 태조어진(국보 제317호)의 복색을 청색에서 홍색으로 바꾸어 그린 것이다.
준원전 청룡포본 태조어진은 권 화백이 일제강점기에 촬영된 유리원판으로만 전해져온 준원전 태조어진을 추정해 현존하는 태조어진 중 가장 큰 화폭에 담아 냈다.
또 새로 제작된 반신상 영조어진은 1744년(영조 20년)에 제작한 것을 1900년(광무 4년)에 이모한 영조어진(보물 제932호, 국립고궁박물관 소장)을 다시 모사한 작품으로, 미술해부학 박사이자 얼굴학의 국내 최고 권위자인 조용진 교수가 그렸다.
철종어진은 지난 1861년에 제작돼 현재는 반이 불탄 상태로 남아있는 철종어진(보물 제1492호, 국립고궁박물관 소장)을 새로 모사한 것으로, 지역 화가인 이철규 교수(예원예술대)가 불탄 부분을 추정 복원해 모사했다.
이러한 4점의 어진 모사본을 공개하는 특별전인 ‘다시 태어난 어진’이 지난 9일부터 내년 2월 26일까지 경기전 내 어진박물관에서 진행된다.
김병수 전주시 전통문화과장은 “이번 전시는 태조어진 진본과 함께 다시 태어난 어진을 만나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시 관람을 전통 초상화 제작에 이해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전북 고봉석 기자 ilyo@ily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