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세인 체포 계기
후세인 체포 계기
  •  
  • 입력 2003-12-23 09:00
  • 승인 2003.12.23 09: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후세인의 체포로 이라크 파병준비가 본격화할 것으로 보인다. 후세인의 체포를 계기로 국방부가 파병군 구성과 파병지역 선정 등 구체적인 파병준비에 들어갔다.국방부와 합동참모본부는 오는 23일 국무회의에서 파병동의안이 처리되고 국회 동의절차를 거치는 시기를 전후해 파병협의단을 미국에 보내 파병지역 등을 결정할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또 콜린 파월 미 국무장관이 15일 윤영관 외교통상부 장관에게 전화를 걸어 “후세인 전 대통령의 체포가 이라크내 추종 세력에게 큰 타격을 줄 것”이라면서 “한국 등 이라크 파병국에 도움이 되는 결과를 가져오기를 희망한다”고 언급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윤영관 장관은 “후세인의 체포로 이라크의 정치적 안정과 치안이 확보되고 전후 복구와 재건이 가속화되기를 희망한다”며 “우리 정부는 빠른 시일내에 파병에 필요한 절차를 마치려고 노력중”이라고 설명했다.이처럼 후세인 체포이후 파병 논의가 본격화되고 있는 가운데, 시민·사회 단체에서는 이에 강력 반발했다.민주노총과 참여연대 등 350여개 시민·사회단체들의 모임인 이라크 파병 반대 비상 국민행동은 “후세인의 체포가 파병의 이유가 될 수 없다”고 주장했다.국민행동측은 “후세인 체포 이후 이라크 저항세력의 군사적 저항이 약해질 것이라는 근거가 전혀 없다”며 “오히려 후세인 재집권의 우려가 사라졌기 때문에 이라크에 미군 등 외국 군대가 주둔할 이유가 사라졌다”며 파병계획 철회를 촉구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