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화와 마술쇼의 다소 싱거운 이중주?
동화와 마술쇼의 다소 싱거운 이중주?
  •  
  • 입력 2007-05-17 11:21
  • 승인 2007.05.17 11:2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금주의 DVD / 일루셔니스트

눈은 방만한 속성이 있어 때로 귀나 코를 속이는 것보다 훨씬 쉽다. 그 속임수의 능력을 직업으로 갖고 있는 장인을 두고 흔히 마술사라고 부르는데 그들은 악착같이 뒤쫓는 대중의 시선 어딘가에 어느새 빈틈을 만들고 그 빈틈이 있어야 할 구상의 설계를 미리 갖고 있으며 그 구상을 도울 기가 막힌 장치나 과학을 알고 있다. 환영을 보았는데 그것이 여전히 논리적으로 설명할 길 없을 경우에는 초자연적 현상이라고 말하게 되지만, 속임수라는 것을 뻔히 알면서도 그게 탄복할 만한 것이면 마술사의 장인적 기술이라고 인정하게 된다.

19세기 말 빈에 한 마술사가 있었다. 아이젠하임(에드워드 노튼)은 돌연 등장하자마자 간단하면서도 아름다운 마술부터 심령술사나 되어야 가능할 듯한 초자연적 현상까지 고루 펼치며 빈 사람들을 매혹시킨다. 아이젠하임의 쇼를 보던 경감(폴 지아매티)도, 국왕의 자리를 노리는 못된 황태자(루퍼스 스웰)도 그의 마술에 흥미를 느끼는 사람 중 하나다. 황태자에게는 약혼녀 소피(제시카 비엘)가 있는데 사실 그녀와 아이젠하임은 어린 시절 첫사랑의 기억을, 계층의 차이를 강조한 어른들에 의해 억지로 헤어졌던 기억을 갖고 있다. 아이젠하임의 공연을 계기로 우연히 다시 만난 두 사람은 둘만의 낙원으로 도피하고 싶어한다. 하지만, 소피가 살아 있는 한, 황태자가 있는 한 그러기는 불가능하다.

<일루셔니스트>는 주인공 아이젠하임과 소피가 난관에 부딪히는 시점부터 본격적으로 관객의 눈을 속이기 위한 이야기 작업을 걸어온다. 그런데 그 이야기 속임수가 관습적이어서 다소 싱겁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