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요서울 | 부산 이상연 기자] 부산지방경찰청(청장 허영범)형사과(폭력계)는 그동안 ‘비정상의 정상화’일환으로 치안불안을 초래하고 각종 불법행위를 일삼는 ‘조직폭력배 등 생활주변 폭력배’를 집중 단속해 왔다.
지방청․경찰서에 조폭(19개팀 99명) 및 동네조폭(16개팀 83명) 전담팀을 편성, 전담수사체제를 확립하고 피해자의 경미한 불법행위에 대한 면책을 추진하여 신고 활성화를 유도했다.
그 결과(2016년 1월 1일~10월 31일), 조폭․동네조폭 등 생활주변 폭력배 총 2469건 1267명을 검거해 이중 79명을 구속하고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검거인원이 58.6% 증가하는 성과를 거뒀다고 밝혔다.
폭력‧갈취 등 전형적인 조폭범죄가 2014년 58.5%에서 올해 57.7%로 감소 추세이다. 하지만 지난 6월 시내 아파트 및 상가를 임대 인터넷 도박사이트 및 도박장을 개설하고 회사원, 가정주부 등을 상대로 7억원 규모의 도박장을 운영한 ○○파 조폭 등 63명을 폭력계에서 검거한 사례와 같이, 도박개장‧인터넷 도박 등 사행성영업은 2014년 3.1%에서 올해 5.6%로 증가하여 폭력조직의 새로운 자금원으로 분석됐다.(폭력‧갈취 : ’14년 58.5% → ’15년 53.4% → ’16년 57.7%사행성영업 : ’14년 3.1% → ’15년 3.7% → ’16년 5.6%)
경찰은 조폭 활동기반을 와해하기 위해 사행성 영업 등으로 취득한 은닉자금 환수에 노력한 결과 총 2000만 원을 기소전 몰수보전 했다.
조직 구성원은 활동성이 왕성한 30대 이하가 52.8%를 차지했고, 특히, 검거된 조폭 중에 무직자가 71.5%로 상당수의 조직원이 다른 조직원의 사업을 도와주는 등 일정한 수입원 없이 생활하는 것으로 확인 됐다.
동네조폭 단속 결과 영세상공인 등을 상대로 업무방해와 폭력행사를 하는 경우가 62.5%로 대부분을 차지하며, 전과 11범 이상이 79.0%로 재범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나, 검거 이후에도 보복 등 재범 여부에 대한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경찰은 지난해 검거한 동네조폭 636명 전원에 대한 사후 모니터링을 실시한 결과 피해자 보복범죄는 발생 하지 않았으며 재범자 68명을 검거했다.
경찰은 조직폭력배‧동네조폭 등 생활주변 폭력배에 대한 단속을 꾸준히 전개할 계획이다.
특히 폭력조직의 자금원천이 되고 있는 도박개장, 인터넷 도박 등 불법사행성 영업 단속을 강화하기 위해 사행산업통합감독위원회 등 관계기관과 적극 협업하고 조직의 활동기반이 되는 은닉자금을 끝까지 추적하여 환수함으로써 폭력조직 와해까지 강력하게 추진할 방침이다.
부산지방경찰청(청장 허영범) 폭력계에서는“조폭‧동네조폭 뿐만 아니라, '갑질횡포 특별단속'의 일환으로, 악성고객 등 우월적 지위를 이용한 생활주변 폭력행위 단속에도 수사력을 집중하고 있다”며 시민들의 적극적인 신고와 제보를 당부했다.
부산 이상연 기자 ptlsy@ily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