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한국, 태국 납치피해자 방콕에 모인다
일본, 한국, 태국 납치피해자 방콕에 모인다
  • 오두환 기자
  • 입력 2016-11-14 16:17
  • 승인 2016.11.14 16:1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일요서울 | 오두환 기자] 오는 17일 태국 방콕에서 일본, 한국, 태국의 납북 피해자 가족들이 한자리에 모이는 국제 심포지엄이 열릴 계획이다. 

ICNK가 주최하고 ‘납북문제와 국제사회의 반응’을 주제로 하는 이번 국제 심포지엄에서는 남한 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납북문제뿐만 아니라 일본과 태국 국민도 피해자가 된 북한의 납치 및 강제실종 문제를 조명할 계획이다. 

북한당국이 자행한 납치 및 강제실종은 남한과 일본국민들 외에도 유럽과 동남아시아 일부 국가 국민들을 대상으로도 자행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해당정부의 무관심과 피해자 가족의 안전문제 등 복잡한 요인들로 인해 외국인 대상 납북문제는 큰 조명을 받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태국인 납치 피해자 아노차 판초이의 조카 반종 판초이씨의 오랜 노력의 결과 최근 태국정부가 납치문제에 관심을 보이기 시작했다. 이에 ICNK는 태국의 회원단체인 ‘납북자구출협의회’와 태국 국가인권위원회의 협력으로 방콕에서 심포지엄을 가질 계획이다. 

행사를 기획한 ICNK의 권은경 사무국장은 "태국과 같이 북한과 외교관계가 있는 국가의 정부가 더 적극적으로 이 문제에 나서주기를 희망한다"며, “태국은 북한과 외교관계도 있으면서 자국민이 납북 피해자이기도 하기 때문에 이번 행사를 계기로 태국정부가 적극적으로 협조하게 된다면 문제해결을 위해 큰 힘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 권 사무국장은 "‘강제구금’은 ICC의 로마규정에서 규정한 ‘반인도범죄’를 구성하는 중대 인권유린 중 하나”라며 "유엔 및 국제사회가 북한의 반인도범죄의 ‘책임자 규명’과 해결을 위한 방안 연구에 주력하고 있는 시점에, NGO와 납치피해자 가족들이 이 문제에 더욱 목소리를 내는 것은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특히 권 사무국장은 “철저히 폐쇄된 북한 안에서 벌어지는 여러 종류의 인권유린들 중 납북문제는 피해자의 신분과 피해자 가족, 사건 발생 등에 대한 명백한 정보가 북한 외부에 존재하는 사안이므로 논리적으로는 북한당국이 발뺌하기 가장 힘든 문제라는 점에서 전략적으로 중요한 이슈”라고 말했다.

또 권 사무국장은 "무엇보다 피해자의 기본적인 인권을 위해서도 피해자의 행방을 확인하는 것은 물론이고 송환까지 이루어 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방콕행사에는 6.25전쟁 납북인사가족협의회 하영남 이사, 1969년 KAL기 납치피해자 가족회 황인철 대표, 탈북과정에 10대 나이의 아들이 납북되어 현재 실종 상태인 자유북한국제네트워크 김동남 대표가 참석할 계획이다. 또한 일본에서는 일본인납북피해자가족회의 테루아키 수모토 씨가 참석할 예정이다. 

이번 행사는 카셋삿 대학교 사회과학대학과 태국 국가인권위원회의 지원으로 ICNK와 ARNKA의 공동주최로 카셋삿 대학교에서 진행될 계획이다.  

오두환 기자 odh@ilyoseoul.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