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서울 | 남동희 기자] 개성공단에 입주한 기업들이 정부가 미지급한 피해금액 3000억 원을 2017년 예산에 포함시킬 것을 요청했다.
개성공단에 입주한 기업들은 2일 성명서를 통해 “개성공단 기업들의 피해 보상을 위한 2017년도 예산 편성이 국회 외교통상부에서 진지하게 논의된 점은 환영하나 피해금액 미지급분 3000억 원이 통일부의 반대로 반영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기업들은 “유동자산 지원금액인 703억 원만 예산안에 편성된 것은 실망스러운 처사”며 “미지급된 3000억 원은 경영정상화와 민생문제 해결을 위한, 생명줄과 같은 자금”이라고 절박함을 호소했다.
이번 성명서를 통해 기업들은 “잠정 피해가 1조5000억 원에 달하는데 1조원으로 낮춰 신고했지만 정부는 서류가 미비하다고 7779억 원만 인정했다”며 “심지어 인정된 7779억 원에서도 정부에게 받은 지원금은 4790억 원 밖에 안 된다”고 밝혔다.
이들은 “이런 상황에서 정부가 개성공단 피해 지원을 2017년 예산에 반영하지 않고 있는 것은 피해기업들이 처한 절박한 현실에 무지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처사”라며 “국회는 개성공단과 남북경협이 비선실세의 국정농단에 의해 중단된 전모를 철저히 밝히고 조속한 재개를 촉구 한다”고 말했다.
한편 통일부는 북한의 4차 핵실험 이후인 지난 2월 10일 국민의 신변 보호 목적으로 개성공단 폐쇄를 결정했다.
남동희 기자 donghee070@ilyoseoul.co.kr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