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서울ㅣ충남 윤두기 기자] 충남도가 지방자치단체 최초로 도입을 추진 중인 ‘충남경제 위기대응 시스템’과 관련해 충남경제 조기경보지수를 개발, 경기국면 판단과 예측에 활용한다.
또 충남지역 핵심 산업 부문별 산업·경제동향과 이슈 추적을 위한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 시사점 도출 및 현장 적용성 점검을 위한 도구로 활용한다.
도는 28일 도청 대회실에서 윤종인 도 행정부지사와 자문위원, 충남연구원 및 사업수행기관 관계자 등 30명이 참석한 가운데 ‘충남경제 위기대응 시스템 구축사업’ 중간 보고회를 개최했다.
사업 수행기관인 산업연구원은 2005년 중앙정부 차원의 경제조기 경보시스템 구축과 운영에 참여해 온 기관으로서 지난 5월 공모를 통해 이번 사업의 수행기관으로 선정됐다.
이번에 도입하는 충남형 위기대응시스템은 충남지역 실물 및 금융부분에서 실제로 작동하는 조기경보시스템으로, 도는 학계 및 연구계의 이론적 검증, 산업계의 현장의 목소리, 지자체 및 관계자 등 민·관 협력 네트워크 구축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이날 중간보고회에서는 위기대응시스템의 효율적 작동을 위해 △금융 부문 △고용여건 부문 △핵심산업 부문으로 구성된 조기경보지수의 개발·운영계획이 보고됐다.
조기경보지수는 부문별 위기발생을 확률적으로 추정해 신속히 위기에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모니터링 체계는 각 부문별 전문가의 집단지성을 활용, 충남경제 위기대응시스템을 수정·보완해 시스템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제고하는 역할을 맡게 된다.
도는 오는 12월까지 위기대응시스템 구축을 마무리할 계획으로, 조기경보지수 및 모니터링을 통해 산업 동향 및 위기상황 징후의 사전 파악해 통한 유의미한 정책 대안을 제시할 계획이다.
도는 이렇게 구축된 시스템들이 유기적 작동을 통해 위기 발생 시 유관기관 간 정책적 공조 및 신속한 대응과 충남경제 대내외 신인도 제고 및 경제상황의 불확실성 완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윤종인 행정부지사는 “충남은 대외 경제변화에 민감한 경제구조를 가지고 있어 작은 경제 충격에도 그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되므로 경제위기대응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이 높은 실정”이라며 “특히 산업부문 뿐만 아니라 서민경제 등 도민의 삶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경제위기 대응 시스템을 구축할 것”라고 밝혔다.
충남 윤두기 기자 yd0021@ily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