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서울 | 대전 강용수 기자] 대전광역시(시장 권선택)는 지난 9월 12일 경주 지역에서 지진이 발생함에 따라 「대전시 지진 대응 종합대책」을 마련해 적극적으로 대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우선, 지진 대비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시설물 내진보강을 가속화 한다. 공공시설물 790개소 중 내진성능이 확보 되지 않은 444개소에 대해 내진성능 평가를 한 후 그 결과에 따라 시민 이용이 많은 건축물, 교량부터 우선 보강한다.
올해부터 2030년까지 886억 원의 사업비를 연차적으로 투입하여 당초 계획보다 10년 앞당겨 조속히 마무리 하는 한편, 내진설계율을 현재 44%에서 100%로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내년엔 56억 원을 재난관리기금으로 우선 확보해 추진하며,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만큼 중앙정부의 지원이 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협의해 나갈 예정이다.
민간건축물에 대한 내진보강은 강제조항이 없고 인센티브도 미미해 내진율이 17.2%로 낮은 실정으로 정부도 문제인식을 갖고 관련법을 개정해 지방세 감면 과 건폐율 및 용적률 확대 등을 추진하고 있어 이를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내 건축물은 안전하다’는 심리적 안정감을 주기위해 「지진안전성 인증제도」를 민간건축물에도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아울러, 지진가속도 계측기가 대전시청사, 한빛대교 등 8개소에 설치됨에 따라 통합관리시스템을 구축하여 시설물 진동을 감지 기록해 지진 분석에 활용하고, 재난 위험지역에 영상감시 CCTV, 재난방송설비, 터널 등에 라디오 수신 중계기 등 재난 예 경보 시설 96개를 확대 설치하여 지진 상황을 신속 정확하게 전파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한다.
지진대응 역량 배양을 위해 교육훈련과 홍보도 강화한다. 직장교육, 민방위대, 통 반장 교육시 지진 대응교육을 실시하고 지진에 취약한 어린이, 노인 등에 대해 찾아가는 안전교육이 확대 되며 재난관리책임기관에서는 시민들이 참여하는 지진대응 훈련을 의무적으로 실시하고 5000㎡ 이상의 대규모 민간 건축물에서도 지진대피 훈련을 실시하도록 유도할 방침이다.
시민들이 지진 대응 요령을 쉽게 접하고 알 수 있도록 인터넷, 방송, 전광판, 소식지 등 이용이 많은 대중매체를 적극 활용해 홍보하고, 리플릿, 그림전단, 스티커, 동영상 등 다양한 형태의 홍보물도 제작해 보급한다.
또 지진 발생 시 주민들이 공터나 운동장 등 안전한 장소로 대피하는 과정에서 혼선이 없도록 하기 위해 안내표지판을 설치하고 대피소 위치를 알 수 있는 지도도 제작하는 한편, 내진설계가 반영된 시설을 지진피해 이재민의 임시주거시설로 제공해 나갈 계획이다.
지방자치단체 차원의 지진 대응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국민안전처, 외부 전문가 등과도 함께 지속적으로 협력하여 보강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김영호 시 시민안전실장은 “지진으로 인해 우리지역에는 직접적인 피해는 없었지만 이번을 계기로 지진 대비책을 하나하나 철저하게 준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대전 강용수 기자 pd1025@ily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