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청문회 '증인·참고인들의 대거 불참' 속 종료
세월호 청문회 '증인·참고인들의 대거 불참' 속 종료
  • 오두환 기자
  • 입력 2016-09-02 19:30
  • 승인 2016.09.02 19: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경찰 유가족들 사찰 증언·TRS 녹취록 공개
<뉴시스>

[일요서울Ⅰ오두환 기자] 정부의 조사활동기간 종료 속에 개최된 4·16 세월호 참사 특별조사위원회(특조위) 3차 청문회가 증인·참고인들의 대거 불참하면서 '반쪽 청문회'로 끝을 맺었다.

특조위는 2일 오전 서울 마포구 동교동 연세대학교 김대중도서관에서 3차 청문회를 개최했다. 이번 청문회는 지난 1일부터 양일간 열렸다.

전날에 이어 특조위는 이날 '참사 이후 피해자를 대하는 국가 조치의 문제점' '선체인양과 인양 후 미수습자 수습 및 침몰원인 규명 선체조사' '해경 주파수공용통신(TRS) 음성 분석으로 드러난 사실들'에 대해 청문회를 진행했다.

오전 세션에서 특조위는 김석균 세월호 참사 당시 해양경찰청장과 강신명 전 경찰청장 등 경찰 고위관계자 8명을 증인으로 채택했지만 전원 불참했다.

신현호 특조위원은 참고인 신분으로 참석한 유가족 5명을 대상으로 참사 직후 정부 대처 방식의 미흡한 점과 경찰의 사찰 등에 대해 질문했다.

유가족들은 "최근까지도 미행과 사찰이 이뤄지고 있다"며 "순간적으로 두려움을 느낀다"고 말했다. 

이들은 경찰이 세월호 사고 관련자들을 상대로 차량을 조회하거나 개인 신상 정보를 파악하고 추적하는 등 사실상 사찰을 진행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신 위원은 최근까지 경찰이 유족들 통화기록 등을 조회하고 확보하고 있다는 의혹도 제기했다. 또 정부가 사고 직후 사복 경찰 100여명을 배치해 유가족 동향을 살피면서 '정부 비방 발언'이 있었는지 여부를 파악하는 데 주력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특조위는 해경에게서 입수한 해경 주파수공용통신(TRS) 녹취록을 발표하며 정부 발표와 달리 구조 작업에 투입된 무인잠수정(ROV)의 성과가 왜곡됐다고 주장했다.

특조위가 분석한 TRS 녹취록에 따르면 해경은 지난 2014년 4월 세월호 구조 작업을 진행하면서 무인잠수정(ROV)을 2대를 투입했지만 1대는 유실되고 선체 진입에는 어려움을 겪었다는 내용으로 무전했다.

특조위는 공기 주입 호스가 생존자가 많을 것으로 여겨지던 식당칸이 아닌 조타실에 가까운 다른 장소에 투입됐던 당시 해경의 무전 내용도 공개했다.

특조위 측은 또 인양과정에서 해수부 측이 과학적인 계산 없이 무작정 선체에 손을 댔고 계획된 일정마저 우왕좌왕하면서 지연시켰다고 지적했다.

해수부가 자료 제공에 비협조적이라는 점을 분개하면서 선체 절단 등 과정에서 우려되는 시신 훼손, 기름 유출 등에 관한 대책도 내놓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조위는 청문회 기간 동안 김기춘 전 청와대 비서실장, 이정현 새누리당 대표(사고 당시 청와대 홍보수석), 강신명 전 경찰청장(당시 서울경찰청장), 길환영 전 KBS 대표이사 등 증인 39명과 조윤선 전 여성가족부 장관, 김주언 KBS 이사, 장병수 언딘 이사 등 참고인 29명을 채택했다.

하지만 이중 증인 30명과 참고인 6명은 직무나 건강상 등의 이유로 불참 의사를 밝혔다. 일부는 참석 여부조차 특조위에 회신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황전원·고영주·차기환 위원 등 새누리당 추천 특조위원 3명도 불참했다.

정부는 세월호특별법이 시행된 지난해 1월1일을 특조위 출범일로 판단해 지난 6월 30일자로 특조위 활동을 종료시켰다.

특별법은 특조위 활동기간을 특조위 구성으로부터 1년 6개월 간으로 규정하고 있다.

반면 특조위는 위원회 인적·물적 기반이 마련된 지난해 8월 4일이 실질적인 구성 시기이므로 내년 2월 3일까지 조사활동을 보장받아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오두환 기자 odh@ilyoseoul.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