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인에게 회초리라도 들으라” 십자포화
朴대통령 “국민 생명 지키는 일에 타협이나 양보 결코 없어”
“나라 지키기 위한 사드 배치에 유언비어 난무하고 혼란 부추겨”
[일요서울|송승환 기자] 박근혜 대통령은 12일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친 선열들을 생각하면 어떤 일이 있어도 국민의 생명과 국가의 안전을 지키는 일에 타협하거나 양보하는 일은 결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독립유공자와 유족 등 163명과 오찬을 함께 한 자리에서 “나라를 지키기 위한 최소한의 방어체계인 사드(THAAD) 배치에 대해 온갖 유언비어가 난무하고 일부에서는 오히려 혼란을 부추기기도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는 사드가 국가 안보를 위해 꼭 필요한 수단임을 부각하면서 이를 둘러싼 야당과 지역 주민들의 반발을 정면돌파하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한 발언이다.
박 대통령은 최근 더불어민주당 초선 의원들의 중국 방문을 계기로 청와대 수석비서관회의, 새누리당 전당대회 등의 공식 석상에서 연일 사드 배치를 둘러싼 ‘남남갈등’을 비판해왔다.
이날도 박 대통령은 “북한은 참혹한 전쟁을 일으킨 데 이어 이제는 핵무기 개발과 연이은 미사일 발사 등으로 민족의 운명을 또다시 위기로 몰아넣고 있다”며 “이러한 북한의 도발과 위협에 맞서려면 무엇보다 우리 사회가 하나가 돼야 하는데 우리 현실을 돌아보면 걱정이 큰 것도 사실”이라고 우려했다. 새누리당도 지난 10일 더민주 초선 의원들에 대해 “경솔하고 분별력 없는 행동에 대해 깊이 반성하고 국민에게 사과해야 한다”고 밝혔다.
정진석 원내대표, “앞뒤 안 맞는다” 맹비난
김정재 원내대변인은 이날 논평에서 “국민께 우려와 걱정을 끼치더니 예상대로 사드에 대한 그 어떤 성과나 알릴 사실조차 없이 그저 방중(訪中)에 대한 소감과 느낌 정도뿐인 해외여행 수준의 일정이었다"면서 이같이 촉구했다. 김 원내대변인은 특히 “이들이 입국 후 공항에서 방중 결과의 일부라도 밝히지 못한 것도 이번 방중 활동이 결코 환영받지도 못할 ‘허무개그 식 일정’이었다는 점을 분명히 확인시켜줬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더민주 김종인 비상대책위 대표에게 “이런 철없는 행보를 한 6명의 의원들에게 큰 회초리라도 들어야 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이에 앞서 새누리당 초선 의원들도 이날 공동성명을 내고 더민주 지도부를 상대로 방중 의원단에 대한 징계를 요구했다. 김성원 의원을 비롯한 초선 일동은 성명에서 “국가 주권에 관한 문제를 외국에 의존하는 극히 사대적인 행동”이라면서 “한국 내 갈등을 유발해 사드 배치를 무산시키려는 중국의 의도에 이용되는 결과를 가져왔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특히 “한반도를 둘러싼 강대국들의 이익이 극명하게 대립되는 중차대한 시기에 대한민국 국민을 대표하는 국회의원이라고 보기에는 (중국에서) 만난 사람들의 지위나 면담 내용이 너무 초라했다”면서 “국회의원 품위를 크게 손상시킨 것은 물론 국격을 저하시켰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6명의 초선은 석고대죄하는 심정으로 국민 앞에 사과해야 하고, 더민주는 이들에 대해 분명한 책임을 물어 중징계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신 의원은 전날 베이징 주재 한국 특파원단과의 간담회에서 중국 측 전문가가 자신들과의 좌담회에서 ‘한국이 사드를 배치할 경우 중국이 북한과 다시 혈맹으로 돌아갈 수도 있다’는 경고성 발언을 했다고 전했다.
이에 대해 하 의원은 “좌담회에 참석한 중국 측 복수의 인사들이 토론 내용이 왜곡됐다고 불만을 토로했다”면서 “참석자를 상대로 직접 확인한 결과 이런 언급이 없었다는 답변이 돌아왔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더민주 의원단을 발언 내용이 왜곡됐다는 중국 참석자들의 불만 토로에 대해 즉각 해명하고, 실제로 왜곡된 부분이 있다면 즉각 정정하고 사과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지상욱 대변인, “訪中 김종인 대표도 반대”
새누리당 지상욱 대변인은 지난 6일 구두논평에서 “더민주 초선의원 6명의 방중은 대한민국의 안위를 위한 사드 배치에 반대하는 중국을 이롭게 하는 행위”라면서 “도대체 대한민국의 국회의원인가 아니면 시민운동가인가”라고 비판했다.
민경욱 원내대변인은 논평에서 중국 관영 환구시보(環球時報)가 이날 1면 헤드라인으로 더민주 의원들의 방중 소식을 대대적으로 보도한 데 대해 “이 신문은 ‘소통의 방문’이라고 했는데, 중국의 입장을 모르는 바가 아니다”면서 “국내 정치권의 갈등을 부추기기 위한 언어의 유희에 불과하다”고 강한 어조로 비난했다. 이는 사드 배치 찬반문제를 놓고 ‘남남갈등’을 부추기려는 중국의 전략이라는 의미다.
민 원내대변인은 그러면서 “안타까운 것은 이런 중국의 의도에 이용되는 빌미를 제공한 일부 야당 의원들의 철없는 행태”라고 지적했다. 정진석 원내대표는 이날 서울 양재동 교육문화회관에서 열린 ‘8·9 전당대회’ 수도권 합동연설회에 참석, “더민주 지도부가 이번 방중에 대해 ‘정부·여당이 할 일을 대신 해주는 것인데 무엇이 문제냐’고 했다”면서 “그분들이 모두 사드 배치에 반대하는 의원들인데, 정부·여당 대신 중국에 간다는 말이냐. 앞뒤가 안 맞는다”고 꼬집었다. 김영우 국회 국방위원장은 최근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사드는 우리 대한민국을 지키는 방어무기 체계에 불과함에도 중국이 이를 전방위적으로 반대하는 것은 한·미동맹을 느슨하게 하려는 속뜻이 있는 것 아니냐”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야당 의원들은 중국의 의도에 말려드는 일을 해서는 안 된다”며 “헌정사에서 의원들이 외국을 직접 방문하면서 우리 외교의 기본방향에 반대되는 일을 한 적은 한 번도 없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특히 “이것은 우리 정치의 수치”라며 “속마음은 동료 의원이지만 출국금지라도 해야 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마저 들 정도”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더민주 김종인 비상대책위 대표가 초선의원들의 중국방문에 대해 공개적으로 반대 의사를 밝힌 데 대해서는 “김 대표가 사드 문제에 대해서는 현실적이고 합리적으로 판단하신 거 같다”고 밝혔다.
한국갤럽 “사드배치 찬성 56%, 반대 31%…찬성비율 상승”
한편, 사드의 국내 배치에 대한 찬성 비율이 상승했다고 여론조사 전문업체인 한국갤럽이 12일 밝혔다. 갤럽이 지난 9~11일 전국 성인남녀 1천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휴대전화 여론조사(95% 신뢰 수준에 표본오차는 ±3.1%p) 결과에 따르면 찬성 56%, 반대 31%, 답변유보 13% 등으로 각각 집계됐다. 사드 배치 공식 발표가 나온 지난달 8일 직후 조사(7월12∼14일)에서는 찬성 50%, 반대 32%를 각각 기록했었다. 특히 한달 전 조사에서는 여성의 28%가 의견을 유보했지만 이번에는 19%로 줄었으며, 전체적인 여성의 찬성 비율은 38%에서 49%로 상승했다.
songwin@ilyoseoul.co.kr
송승환 기자 songwin@ilyoseoul.co.kr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