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당 총선 홍보비 파동에 연루돼 검찰소환 조사를 받은 김수민 의원이 리베이트 의혹과 관련, “당 지시에 따른 것”이라는 의견서를 제출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이번 사건이 새로운 국면을 맞게 됐다. 그간 ‘업체 간 계약’이라며 선을 그어온 당 입장에서 김 의원 발언은 상당한 파장을 몰고 올 수 있다는 점에서 검찰 수사 방향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23일 검찰에 출석한 김 의원은 리베이트 혐의를 전면 부인하는 한편, 당의 지시로 광고홍보 계약을 맺었다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업체와 당 사이에 돈이 오간 사실을 인정하면서도 리베이트 성격은 부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 의원은 특히 조사 직전 국민의당으로부터 “‘당과는 상관없는 일’이라고 진술하라”는 지시를 받았다는 내용이 담긴 진술서를 검찰에 제출한 것으로 알려져 파문이 일고 있다. 이를 두고 일각에선 국민의당과 김 의원 사이에 갈등이 빚어지고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당이 김 의원 선에서 꼬리 자르기 하려는 것에 반발에 김 의원이 당으로 화살을 돌렸다는 분석이다.
당 지도부를 향한 검찰 수사도 탄력이 붙을 것으로 전망된다. 27일 안철수 대표의 최측근이자 이번 사건의 핵심 인물인 박선숙 의원의 출석이 예고돼 있다. 검찰은 박 의원이 리베이트를 받는 과정에서 이를 지시했는지 여부와 이를 알고도 총선 국고 보전금 등을 신청했는지에 대해 집중 수사를 벌일 예정이다. 수뇌부에 대한 수사 여부는 박 의원 조사 이후 판가름 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검찰은 계약 과정에서 홍보업체 간 자금 흐름이 정치자금법 위반에 해당되는지 여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홍보업체가 국민의당 대신 김 의원이 대표로 있던 브랜드호텔에 PI(Party Identity) 등을 제작한 대가를 대신 지급했다는 이른바 ‘대납 의혹’까지 제기되면서 사건은 일파만파 확산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정유담 언론인>
정유담 언론인 ilyo@ily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