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 비대위 출범 보름만에 또다시 '自中之亂'
새누리 비대위 출범 보름만에 또다시 '自中之亂'
  • 고정현 기자
  • 입력 2016-06-17 13:57
  • 승인 2016.06.17 13:5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친박 "당내 의견수렴 절차 전혀 없어...비박계의 쿠데타"
-비박계 "민주적 절차에 따른 정당한 결과"

[일요서울ㅣ고정현 기자] 새누리당 친박(친박근혜)계가 17일 혁신비상대책위원회의 유승민 의원 등 탈당파 복당 승인에 대해 공개적으로 반기를 들었다. 우여곡절 끝에 혁신비상대책위원회를 출범 시킨지 보름 만에 이다. 여권 전체가 다시 갈등 국면으로 접어들게 됐다.

친박계는 유 의원의 복당 결정을 비박(비박근혜)계의 '쿠데타'로 규정하고 분당과 대통령 탈당까지 거론하며 '배수진'을 치고 나섰지만, 비박계는 "민주적 절차에 따른 정당한 결과"라며 물러서지 않고 있어 한동안 양대 계파 간 정면충돌이 불가피한 상황이 됐다.

친박계가 가장 반발하는 부분은 박근혜 대통령과 대립각을 세우며 탈당한 유승민 의원에 대한 복당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당내 의견수렴 절차가 전혀 없었다는 점이다.

앞서 비대위 구성 과정에서 이미 한 차례 친박계와의 진통을 빚은 바 있는 정 원내대표가 비박(비박근혜)계와 '합세'해 김희옥 혁신비대위원장을 향해 거친 언사를 써가며 복당 표결을 압박했다면서 '정진석 보이콧'까지 거론하며 책임을 묻겠다는 태세다. 정 원내대표는 김 위원장에게 "다수결을 따르지 않는 건 중대범죄'라는 거친 표현을 사용한 점도 법조인 출신인 김 위원장에게 모욕감을 줬을 것이란 관측이다. 김희옥 위원장은 "거취 문제를 고민하겠다"고 밝힌 뒤 연락이 두절된 상태다.

한 친박계 의원은 “정 원내대표는 당내 의사 수렴을 전혀 거치지 않은 채 중대한 의사 결정을 여러 차례 했다”며 “더 지켜보기 어렵다는 얘기가 많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이 전날 정 원내대표의 ‘범죄행위’ 발언을 자신에 대한 협박으로 받아들여 거취를 고민하는 사태까지 벌어진 만큼 정 원내대표가 현 상황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한다는 것이다.

친박계는 정 원내대표 등 일부 비대위원들의 강압에 의한 복당 의결이 절차상 문제가 있기 때문에 의결 자체가 무효라고 주장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친박계 일각에서는 유 의원의 복당을 위해 김무성 전 대표 측이 움직였다는 의심도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대선이 불과 1년 반 밖에 안 남은 중요한 시점에서 유 의원 한 사람의 새누리당 합류 여부를 놓고 당 전체가 공멸할 수도 있는 내홍이 벌어지는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jh0704@ilyoseoul.co.kr

고정현 기자 jh0704@ilyoseoul.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